정부가 오는 11월까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을 마무리하고, 2027년 첫 착공을 목표로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추진한다. 또 하반기에 인천과 대전 등의 노후계획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
국토부는 8·8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통해 수도권에 총 10만호 이상의 추가 공급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국토부가 수립하는 기본방침과 1기 신도시별 기본계획이 이달 중 공개될 예정이다. 이어 오는 11월에는 2만6,000호 규모에 추가 물량을 더한 선도지구를 신정 절차도 마무리한다. 이번 선도지구는 2025년 특별정비구역 지정, 2026년 사업시행인가 등을 거쳐 2027년 첫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게 된다.
특히 내년 이후에도 매년 일정 물량을 선정해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선정 즉시 특별정비구역 지정에 착수하는 등 매년 순차적·단계적으로 일정 물량을 지속적으로 정비하겠다는 것이다.
수도권 1기 신도시 외에 노후계획도시가 포함된 지자체의 기본계획도 마련된다. 올해 하반기 중에 부산과 인천, 대전, 수원, 용인, 안산 등 6개 지자체가 관내 노후계획도시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부산의 경우 이미 지난달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간 상황이다. 이에 따라 향후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노후계획도시에 대한 본격적인 재건축이 추진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와 지자체는 지난 6월 협의체 구성을 완료했으며, 기본계획 수립 컨설팅과 계획간 정합성 확보 등 체계적인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더불어 현재 1기 신도시 5곳에서 운영 중인 미래도시지원센터도 지자체가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하는 전국 노후계획도시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 정부 ‘재건축·재개발 촉진특례법’ 제정 추진… 정비사업 빨라진다
- [8·8 대책] “17년 만에” 재건축 조합 동의율 완화 추진… 정비사업 규제 대폭 완화 예고
- 정부 “정비사업 획기적 단축… 인허가 지연 방지 대책 마련”
- 정부 “8월에 추가 주택공급 확대 방안 발표… 가용 정책 총동원”
- 국토부 “주택건설·정비사업 인·허가 지연 없앤다”
- 정부 “도심 재건축·재개발로 주택공급 활성화”
- [8·8 대책] 서울·수도권 인근 신규택지 지정… 최대 8만호 공급 예정
- 주택업계 “8·8 주택공급 방안 환영한다”
-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제도 개선 조속히 추진하겠다”
-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일부 해제해 신혼부부 주택 공급
- [8·8 대책] “정비사업·공공택지 통해 안정적인 주택공급 기반 마련할 것”
- 정부,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제정 속도
- 국토부, 중동·산본부터 신도시 정비사업 밑그림 공개
- 정비사업 보정계수 내달부터 적용
- 서울시 “주택공급 확대 위해 촉진계획 수립·변경 권환 확대해야”
- 김은혜 ‘정비사업 하이패스법’ 발의… 8·8 대책 본격 추진되나
- 절차는 통합하고 용적률은 높이고… '정비사업 하이패스법'에 속도 낼까
- 전국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주민 반대하면 ‘최대 20점’ 감점
- [창간11주년 | 그래도 돌파구는 있다 - 정부의 정책 지원 ]0·1·1·0·0·8·0·8… 정비사업 활성화 매트릭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