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내 아파트는 재건축? 리모델링? 내 아파트는 재건축? 리모델링? 내가 사는 준공 25년 된 아파트는 어떤 사업방식으로 해야 할까? 재건축 사업대상이 되는 준공 후 30년이 되는 시기에 맞춰서 5년을 기다려 재건축사업으로 사업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준공 후 15년이 지났으니 리모델링 사업으로 추진해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여러 비슷한 단지들이 있다.사업의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큰 조건으로는 △준공 후 30년 이상 : 준공 후 15년 이상(구조적 안전에 대한 문제 발생, 설비시설의 물리적인 노후화, 주거환경 및 생활의 변화) △안전진단 D, E 등급 : 안전진단 B, C 등급(재건축의 경우 안전진단 설계쟁이가 전하는 리모델링이야기 | 강현일 대표 | 2022-08-12 09:22 리모델링의 유형(2) 리모델링의 유형(2) (지난호에 이어)리모델링 유형으로는 1)유지관리형 2)시설확충형 3)전면개량형 4)세대수 증가형으로 나눌 수 있다.3)전면개량형은 복도형 아파트/ 세대 전용면적 확장/ 세대 평면의 재구성/ 기존 주거환경의 전체적 성능향상이 필요한 단지를 대상으로 한다. 기존세대 평면 재구성을 통해서 전용면적을 확장하고 공간을 최신 트랜드에 맞춰서 구성 할 수 있고, 기존의 복도형 구조를 계단형 구조로 전환함에 따라 프라이버시 보호와 서비스면적까지 늘어나 리모델링 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져올 수 있다.앞서 언급한 유지관리형·시설확충형보다 기존 용적 설계쟁이가 전하는 리모델링이야기 | 강현일 대표 | 2022-07-22 10:02 리모델링의 유형 리모델링의 유형 리모델링 유형으로는 1)유지관리형 2)시설확충형 3)전면개량형 4)세대수 증가형으로 나눌 수 있다.1)유지관리형은 준공 후 15~20년/중·대형 평형으로 구성된 단지/기존 단위평면의 높은 만족도/세대당 주차 대수 1.4 이상 등 건물의 노후화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되고 세대의 면적 및 신축 세대수 증가 등을 통하여 분담금 절감 등이 요소가 크지 않은 단지를 대상으로 한다.세부적으로는 건축설비시설의 개선, 바닥 및 벽체수선, 균열이 되거나 벽체 단열성능이 낮은 자재를 교체 또는 설치하고 친환경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자재 등 기존 주거 설계쟁이가 전하는 리모델링이야기 | 강현일 대표 | 2022-07-08 09:18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이유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던 1기 신도시 재정비를 시작하기 위해서 2022년 5월 30일 민관합동 전담조직(TFT팀)이 구성됨에 따라 올 하반기에는 어떠한 방향이던 1기 신도시 개발 방향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갑자기 떠오른 1기 신도시 재건축 이슈로 그동안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던 단지들이 혼란을 느끼고 있고. 일부단지의 경우 재건축으로 사업전환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리모델링을 지속 추진하고자하는 주민 간의 다툼으로 리모델링 사업이 중지되거나, 혹은 재건축으로 사업전환을 하려는 단지까지 나오고 있는 시점이다.처음 사업을 추진하면서 설계쟁이가 전하는 리모델링이야기 | 강현일 대표 | 2022-06-24 10:45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