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의 정비사업과 차별화로 일반적인 재개발사업에서 벗어나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가로 중심의 디자인 차별성을 강조하는 정비모델로 제시된 사업이 모아주택 사업이다.

지난 9월 19일 서울시청 신청사에서 모아주택·모아타운 심포지엄에서 ‘모아주택 디자인 혁신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발표가 있었다. 디자인 혁신에 관한 예시적인 사례를 소개하는 등 전체적인 내용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향후 디자인 혁신으로 발생 될 수 있는 공사비 상승에 대한 우려 및 일반 정비사업과 비교해서 사업 동의율 등이 현실적이지 못한 부분과 발표된 정책과 연계된 조례 개정의 이슈가 있었는데 계속 시간이 지나고 있는 만큼 오래지 않아서 원활한 후속적 조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최근 모아주택이 선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몇몇 사업지에서 본격적으로 사업이 진행되며 고시를 앞두고 주민설명회가 진행되거나 조합설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개최하는 등 분주한 사업 일정들을 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우려스러운 것은 정작 설명회에서 발표되는 내용에는 서울시에서 강조하고 있는 건축 계획적 디자인 차별성을 볼 수 있는 내용들은 모두 빠져있고 도시 계획적 시각에서의 원론적인 사업 시행 면적과 도로 폭 넓히기에 관한 내용들, 그리고 사업 부지에서 배제가 필요한 부지에 관한 내용들 위주로 설명됐다는 점이다. 정작 주민들의 궁금한 전체적인 향후 개발계획 및 예상되는 분담금 등은 볼 수도 없었고 일부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또한 주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계획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등 디자인 차별성을 느낄 수 있는 계획안은 볼 수 없었다. 

물론 아직 조합설립이 되지 않아 건축사사무소가 참여하지 못하다 보니 결과물을 만들지 못한 일도 있지만 최초 관련기관으로부터 용역을 수행하는 업체에서의 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시간만 소비하고, 제시하는 성과품은 서울시의 기준에 못 미쳐서 서로 동상이몽의 시간만 보내는 일도 있다 보니 주민들의 소중한 시간만 계속해서 소비될까 하는 우려가 된다.

모아주택은 서울시의 핵심 정책 사항이니만큼 시와 구청에서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보이며 인·허가 시에 서울시의 가이드라인이 적용되지 않은 계획안에 대해서는 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시와 구청에서 협조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결국 서울시에서 발표한 디자인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의무는 조합에 있고, 조합에서 얼마나 현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사업지의 가로에 어울리는 창의적인 디자인’을 계획할 수 있는 실력 있는 건축사사무소를 협력사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시행착오를 줄이고 예시된 사업 일정에 맞춰서 사업을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디자인 혁신은 한 번에 완성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 회사 모니터에서의 분석이 아닌 현장에서 눈으로 보고 거주자의 인터뷰를 통해 그분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부지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나올 수 있는 사례들의 연구를 통해 부지에서의 건축적인 제한 요소들을 가능한 창의적인 요소로 적용하고, 지역 가로를 활용하여 어울리는 디자인을 적용하거나 아니면 가로의 통합과 분리 등의 개선을 통해 새로운 가로의 형성으로 디자인을 완성하는 것이 디자인 혁신이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혁신은 새로운 변화를 적용하겠다는 설계자의 도전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붙임 말. 서울시는 지난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내용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발표를 기대하며, 그동안 오세훈 시장님이 수없이 약속했던 공공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기를 기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