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 선도지구 공모에 총 99곳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은 47곳이나 신청하면서 계획 대비 7.4배에 달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기 신도시 정비 선도지구 선정 공모에 제안서를 제출한 구역은 총 99개 구역이다. 이는 선정 총 규모인 2만6,000세대(최대 3만9,000세대) 대비 5.9배인 총 15만3,000세대로 집계됐다. 분당 47곳, 일산 22곳, 평촌 9곳, 중동 12곳, 산본 9곳이 신청했다.
먼저 분당 신도시의 경우 선도지구 공모 대상인 특별정비예정구역 67곳 세대 규모가 큰 양지마을, 시범단지삼성한신 등 중 47곳이 참여했다. 선정 규모 8,000세대(최대 1만2,000세대) 대비 7.4배인 총 5만9,000세대로 제출된 구역들의 평균 동의율은 90.7% 수준이다.
일산 신도시의 경우 공모대상 특별정비예정구역 47곳 중 강촌마을, 백마마을 등 총 22곳이 공모에 참여했다. 이는 선정 규모 6,0000세대(최대 9,000세대) 대비 5배인 총 3만세대 규모다. 제출된 구역들의 평균 동의율은 84.3% 수준이다.
평촌 신도시의 경우 공모대상 특별정비예정구역 19곳 중 은하수·샛별마을, 샛별한양1·2·3 등 총 9곳이 참여했다. 이는 선정 규모 4,000세대(최대 6,000세대) 대비 4.4배인 총 1만8,000세대 제출된 구역들의 평균 동의율은 86.4% 수준이다.
중동 신도시의 경우 공모대상 특별정비예정구역 16곳 중 미리내마을, 반달마을A 등 총 12곳이 참여했다. 이는 선정 규모 4,000세대(최대 6,000세대) 대비 6.6배인 총 2만6,000세대 규모로 제출된 구역들의 평균 동의율은 80.9% 수준이다.
산본 신도시의 경우 공모대상 특별정비예정구역 13곳 중 퇴계1·2차·율곡주공, 장미·백합·산본주공 등 총 9곳이 참여했다. 이는 선정 규모 4,000세대(최대 6,000세대) 대비 4.9배인 총 2만세대 규모로 제출된 구역들의 평균 동의율은 77.6% 수준이다.
평가는 제출된 제안서 동의율 등에 대한 검증 절차에 기반해 10월 중 이뤄지게 된다. 향후 지자체 및 국토부 협의 등을 거쳐 11월 중 최종 선정하게 된다.
정우진 국토부 도시정비기획단장은 “향후 지자체의 제안서 평가 과정 등에 적극 협조해 11월까지 선도지구 선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특별정비계획 수립 패스트트랙을 통해 선도지구 선정 즉시 특별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신속한 계획 수립과 주민부담 경감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도 마련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 전국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주민 반대하면 ‘최대 20점’ 감점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공모 접수 시작… 막판 동의율 ‘스퍼트’
- 분당 선도지구 경쟁 ‘초접전’… 불합리한 선정기준에 주민 출혈 불가피
- 선도지구에 특별정비계획 수립 패스트트랙 도입
- 윤 정부 반환점… 재건축 촉진법 제정으로 충분한 주택 공급
-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13곳 선정
- [해설 | 도시정비법 위원장 대안] 정비사업 패스트트랙 법안 시행 초읽기… 국무회의 통과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부천시, 반달마을A·은하 등 2곳 선정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성남시, 선도지구에 연립주택단지 1곳 추가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고양시, 백송마을 등 4곳 선도지구 선정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안양시, 꿈마을금호 등 3곳 선도지구 선정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군포시, 자이백합 등 2곳 선도지구 선정
- “선도지구만큼 뜨겁다” 강촌1·2, 백마1·2
- 분당 샛별마을, 특별정비계획 입안제안… 구역 지정 속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