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윤석열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맞아 지난 2년 반 동안 국토교통 분야의 주요 정책성과와 향후 정책방향을 점검했다.
그동안 국토부는 시장 과열기에 도입된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고 주거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추진해 왔다.
먼저 재건축 부담금을 완화하는 등 재건축 3대 규제를 합리화하고, 안전진단 없이도 사업에 착수할 수 있는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해 사업 속도를 높였다. 그 결과 서울지역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 단지는 16배 확대됐다. 전국 단위로는 12.5배 늘었다. 구제적으로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에서 평균 4.4곳에 그쳤지만 2023년 71곳으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전국은 평균 13곳에서 163곳으로 늘었다.
재건축 패스트트랙이 도입되면서 준공 후 30년 경과한 단지는 재건축진단 없이도 사업에 착수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정비구역 지정 전에도 추진위원회 구성이 허용된다.
노후계획도시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 등 제도적 기반도 마련됐다. 1기 신도시에 대해 올해 2.6만호+α 규모의 선도지구 선정 절차가 진행 중이며, 지방 노후계획도시에 대해서도 기본계획 수립 등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전면적인 재개발·재건축이 어려워 정비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노후 저층 주거지에 대해서도 뉴:빌리지 사업을 새롭게 도입했으며 연내 선도 사업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국토부는 재건축 촉진법 제정 등을 통해 수요에 부합하는 충분한 규모의 주택 공급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1기 신도시 재정비 선도지구 사업 추진과 함께 전국 노후계획도시에 대한 재정비도 본격화하고, 3기 신도시를 포함해 신규택지 공급도 가속화한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 30년 넘은 아파트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착수
- 국토부, 연말까지 신도시별 이주대책 기본계획 완료
- 국토부,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 가이드라인 마련
- 안전진단 없이도 재건축 착수… 전자 서명동의서·투표도 허용
- 선도지구에 특별정비계획 수립 패스트트랙 도입
- 1기 신도시 절반이 뛰어들었다… 재건축 선도지구 공모에 총 99곳 신청
-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13곳 선정
- [해설 | 도시정비법 위원장 대안] 정비사업 패스트트랙 법안 시행 초읽기… 국무회의 통과
- “내년부터 재건축·재개발 이렇게 달라집니다”
- 계엄發 탄핵 정국에 정비사업 후폭풍… 정책·법안 ‘시계제로’
- [재건축촉진법 주요 내용은] 2030년 선도지구 첫 입주,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에 달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