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지역본부가 정비사업 촉진을 통해 서울 도심 내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건설사들과의 소통채널을 구축했다.
LH 서울본부는 지난달 27일과 28일 양일간에 걸쳐 대형·중견 건설사 20곳을 초청해 간담회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주택수요가 많은 도울 도심에서 정비사업을 활성화해 주택공급을 늘리겠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LH는 서울에서 공공재개발·재건축과 도심복합사업, 소규모정비사업 등 도심정비사업 116곳에서 약 9만7,000호 규모의 주택공급을 공급할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공공재개발 5곳과 도심복합 3곳, 소규모정비 3곳 등 11곳이 민간사업자나 시공자 선정을 앞두고 있어 간담회를 추진하게 됐다.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3곳은 2023년 12월 도심복합사업으로는 최초로 사업승인을 완료한 연신내역과 쌍문역동측, 방학역 인근으로 총 1,451호 규모다. 현재 시와 민간사업자 선정 방식 등에 대한 세부 논의를 완료했으며, 이달 중 사업자 선정 공고를 통해 하반기에는 서울 도심복합사업 최초로 민간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공공재개발은 민간사업자 선정 공모 중인 거여새마을이 8월 최종 선정될 예정이며, 전농9구역, 중화5구역, 장위9구역, 신월7-2구역 등도 이르면 연말까지 민간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박현근 본부장은 “정부의 착공물량 확대 기조에 맞춰 LH 내부에서도 주택공급 촉진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LH가 도심정비사업 전문 디벨로퍼로서 시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토대로 주민과 건설사 사이에서 조정자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 금년 내 11곳을 포함해 2025년까지 총 20곳의 민간사업자나 시공자 선정을 차질 없이 추진해 서울 도심에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날 간담회에는 정비사업 시장이 공사비 급등으로 인한 공사중단, 계약해지, 시공자 선정 유찰, 주민·시공자 갈등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인식해 장애요인을 사전 발굴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시간도 가졌다.
LH는 도심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비사업 현황과 발주계획, 민간사업자나 시공자 선정기준을 설명하고, 정비사업의 시장동향과 애로사항 등에 대해 토론하는 순으로 간담회를 진행했다. 특히 토론회에서는 건설사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와 건설업계 공사비 상승 요인, LH 도심정비사업 민간사업자 방식 등에 대한 견해를 비롯해 설계변경 허용범위와 적용방식, 시공자 선정시기, 자금조달 방식 등과 관련한 대화가 진행됐다.
박 본부장은 “이번 건설사와의 1차 간담회를 시발점으로 지속적인 소통과 제도보완으로 정비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LH와 건설사가 함께 상생할 수 있을 길을 모색하고, 도심지의 주택공급과 주거환경 개선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 LH, 강남구와 협업해 ‘서울형 자립지원주택’ 공급
- 중화5구역 공공재개발, LH와 사업시행약정 체결
- LH 서울본부, 미래탄소중립포럼과 ESG 실행 협약
- LH 서울본부, 서울 도심주거혁신포럼 발족… 주택공급 활성화 모색
- LH 서울본부 “안전제일”… 안전일터 조성의 날 행사
- LH 서울지역본부, 노후주택 개량사업 추진… 주거복지서비스 제공
- LH, 최초 관리지역 내 가로주택 2곳과 공동시행약정 체결
- LH 서울지역본부, 올해 약 5,700세대 주택매입사업 추진
- LH, 권익위와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복합사업 1,404세대 공급
- ‘강남권 첫 공공재개발’ 거여새마을, 삼성물산·GS건설 컨소시엄 선정
- 장위9구역, LH와 공공재개발 사업시행약정 체결
- 신월7동2구역, LH 공공재개발로 2,200여세대 공급
- LH 서울본부, 재개발 우수단지 답사행사 개최
- LH-강서구, 유휴부지 개발·정비사업 착수 협약
- ‘서울 최초’ 방학역 도심복합사업, 시공자로 두산건설 선정
- 송파 거여새마을, LH-삼성·GS 컨소시엄 공동사업시행 협약
- LH 서울본부, ‘ESG 클린 공공정비사업’ 청렴서약식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