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중이 가장 높은 양천구가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속도를 내며 명품 주거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실제로 민선 8기 들어 전문성과 추진력으로 재건축·재개발 추진을 지원했고, 오랜 시간 지지부진했던 66개 도시정비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먼저 구는 안전진단 기준 완화를 소급 적용해 17개 단지의 안전진단 조기 통과를 이끌어냈다. 20년간 풀리지 않던 목동아파트1~3단지 종상향 문제도 개방형 녹지(목동 그린웨이)라는 대안을 제시해 해결했다.
최근 목동6단지가 조합직접 설립제도를 활용해 정비구역 지정 9개월 만에 조합설립인가를 받는 등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연내 목동아파트 14개 모든 단지의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신월시영아파트는 올해 정비구역 지정안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이밖에 △신월7동2구역 시공자 선정 △신월7동1구역 사업시행자 지정 △신정동 1152번지 조합설립인가 △신정4동 922번지 민간재개발 후보지 선정 등 신월·신정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사업도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다.
구는 도시정비사업에 따라 급증하는 인구에 대비한 공공 인프라 구축도 발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지역의 성장과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교통인프라 개선을 위해 서울 2호선 신정지선 김포연장 및 신정차량기지 이전을 추진해 지난해 김포시와 공동 착수한 사전타당성 용역에서 경제성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해 철도망 확충에 기틀을 마련했다.
서부트럭터미널 도시첨단물류단지도 지난 2016년 시범단지 선정 후 7년 만에 개발이 본격화돼 주거·업무·쇼핑·여가시설이 결합한 최첨단 복합단지로의 변신을 앞두고 있다. 이밖에 △홈플러스 부지 통합개발 △국회대로 상부공원화 △목동 운동장·유수지 통합개발 등 생활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기재 구청장은 “지난 3년은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목표로 양천구의 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초점을 맞춘 변화와 도전의 시간이었다”며 “남은 1년도 마라톤처럼 속도와 방향을 잃지 않고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 ‘내일이 더 기대되는 양천’이 될 수 있도록 주민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홍영주 기자 hong@arunews.com
- 신월시영아파트, 정비계획안 재공람… 구역 지정 가시화
- 목동9단지 ‘4,000세대 육박 초품아’ 단지로 재건축
- ‘목동 대장주’ 목동7단지, 최고 49층 아파트 4,335세대 대단지로
- 목동5단지, 재건축 정비계획 통과… 3,930세대 탈바꿈
- 코리아신탁, 신월7동1구역 사업시행 맡는다
- 신정동 1152번지, 재개발 시공권에 삼성물산 관심
- 목동6단지, 1호 조합설립… 재건축 시계 빨라진다
- 양천구, 재건축·재개발 노하우 전수… 6월 도시정비 지식포럼 개최
- 양천구 “ICAO 국제기준 개정안 강력 반대”
- 신월시영, 정비구역 지정 고시… 재건축 본궤도
- 양천구, 내달 3일 공인중개사 맞춤 도시정비사업 포럼
- 신정4동 922번지, 정비계획 수립 위한 주민참여단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