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10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과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 공동 주재로 제10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TF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TF에는 기획부, 국토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참석했다.
김 차관과 진 차관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해 안정적 주택공급이 부동산 시장 안정에 필수적”이라면서 “주택공급이 차질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가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김 차관은 8·8 주택공급 확대방안 후속조치를 지속 추진하고 내년 공공주택 물량도 역대 최대수준인 25만2,000호를 공급하는 등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추진해온 정책과제들을 진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진 차관은 “지난 11월 5일 수도권 그린벨트를 활용한 신규택지 5만호 발표에 이어 27일 3만6,000호 규모의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발표를 통해 안정적인 주택공급 기반을 확보했다”며 “노후저층 주거지에 기반·편의시설과 주택정비를 패키지로 지원하는 뉴:빌리지 선도사업 30곳 내외를 연말까지 선정하는 등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8·8 공급 대책 발표 이후 非아파트 6년 단기 등록임대를 허용하는 민간임대주택법이 개정을 끝냈다. 또 정비사업 절차 간소화 및 공공지원 강화를 위한 재건축 촉진법 제정안을 발의하는 등 주요 정책과제도 완료했다. 아울러 도시정비법 시행령 개정 등도 연내 신속히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내년 6월 시행을 앞둔 재건축 패스트트랙, 온라인 총회 개최·의결 도입 등을 담은 도시정비법 개정안에 앞서 현장 설명회를 개최하고 정비사업 현장에서 신속히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 계엄發 탄핵 정국에 정비사업 후폭풍… 정책·법안 ‘시계제로’
- “내년부터 재건축·재개발 이렇게 달라집니다”
- ‘재건축 안전진단→재건축진단’ 패스트트랙 관련법 공포
- [재건축촉진법 주요 내용은] 2030년 선도지구 첫 입주,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에 달렸다
- 내년에 공공주택 25.2만호 공급 ‘역대 최대 규모’
- 박상우 장관 “신도시 차질 없이 조성해 안정적 주택공급”
- 국토부, 뉴:빌리지 첫 선도사업으로 32곳 선정
- 정부, 지방 미분양 해소 위한 특별 세제지원 본격 시행
- 진현환 1차관 “현장 어려움부터 해결하겠다”
- 촉진법? 하이패스법!… 도시정비법·노후계획도시정비법에 우선 적용
- [창간11주년 | 그래도 돌파구는 있다 - 정부의 정책 지원 ]0·1·1·0·0·8·0·8… 정비사업 활성화 매트릭스
- 정부 “필요시 토허제 추가 지정 조치”
- ‘특례 동의’ 추진위, 조합 동의 다시 받아야… 패스트트랙 유명무실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