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기 신도시 정비를 앞두고 이주난 등을 방지하지 위한 대책을 올해 안으로 마련한다.
이주대책은 지역별 주택 수급 상황을 분석하고, 지역주민 수요 조사 등을 토대로 정부와 지자체가 협의해 마련할 계획이다. 신도시별로 수립하는 기본계획에 재건축에 따른 구체적인 이주계획을 포함하는 방식이다.
앞서 1기 신도시의 지자체장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노후계획도시정비로 대규모 이주가 불가피한 만큼 지자체의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정부가 개발제한구역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실효성 있는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도시의 인구밀도가 높은 분당은 노후계획도시정비가 시작되면 주민 이주가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선도지구 규모만으로도 최대 1만2,000세대에 달하는 만큼 당장 이주할 수 있는 주택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적으로 지역에 충분한 주택공급이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이주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진행 중인 개발사업을 관리해 신규 공급을 확대하고, 권역별 주택 수급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경우 소규모 신규 개발사업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지난 1·10 부동산 대책에서 발표한 이주단지 조성은 선도지구 선정계획에는 빠져있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시 정부는 2025년부터 신도시별로 이주단지를 한 곳 이상 선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발표는 물론 설명자료에도 별도의 이주단지 조성 계획은 마련되지 않았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체크포인트] 국토부 “지방도 선도지구 선정 적극 지원”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체크포인트] 기존 임의동의서 효력 없어… 이주 지연 조합원은 손해배상
- 수도권 선도지구 ‘속도전’… 선정 배제된 지방 ‘홀대론’
- 1기 신도시 2030년 입주
- 분당 한솔마을1·2·3단지, 신탁방식으로 통합재건축 추진
- 1기 신도시 설문조사로 이주계획 수립… 이주단지 조성은 철회
- 분당 정든마을 동아·우성, 선도지구 지정 속도전 돌입
- 분당 시범1구역, 선도지구 위한 주민설명회 성료
- 분당 샛별마을,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경쟁 참전
- 노후계획도시정비 대장주 ‘분당’… 신탁사 특혜?
- 국토부, 중동·산본부터 신도시 정비사업 밑그림 공개
- “통합정비 안 되면 되레 광역정비 가능성 줄어들 수도”
- 성남시 “오리역세권 분당 이주단지 조성 계획 없다”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