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기 신도시의 선도지구 선정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신도시별 주요 단지들이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 분당 등 일부 단지에서는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지자체도 공모지침을 확정하기 위한 업무에 돌입했다.
반면 지방에서는 ‘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 선도지구 선정계획에서 비수도권 신도시가 제외되면서 ‘지방 홀대론’이 일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고, 선도지구 지정에 대한 적극 지원을 약속하는 등 진화에 나서고 있다.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주요 단지들이 정부의 발표에 따라 선도지구 지정을 위한 경쟁 체계에 들어갔다. 벌써부터 자체적으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동의서 제출을 독려하고 있는 단지까지 나왔다.
성남 분당 수내동 파크타운은 지난달 25일 단지 내 상가에서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소유주는 물론 국회의원과 대형 건설사, 협력업체 등이 대거 참석했다. 노후계획도시특별법에 따른 선도지구 지정절차와 선정기준 등의 사업절차와 개략적인 사업성과 조합원 분담금 규모까지 분석해 설명하는 자리였다.
파크타운 외에도 서현시범단지와 한솔1·2·3단지, 양지마을, 정자일로 등이 통합재건축을 추진하기 위한 경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단지의 경우 공인된 동의서는 아니지만, 전체 주민 85% 이상의 동의를 받기도 했다.
일산, 평촌 등 다른 1기 신도시도 마찬가지다. 최소 3~4곳 이상이 선도지구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 공모지침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동의율 경쟁을 벌이면서 사전 확인을 받는 모습이다.
지자체에서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성남시의 경우 선도지구 선정을 위한 공모지침 논의에 착수했다. 지난달 27일 ‘분당 신도시 선도지구 민관합동 TF추진단’의 첫 회의를 열고 내달 공모지침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군포시와 부천시, 고양시 등도 이달 선도지구 물량 등을 확정하기 위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반면 지방에서는 ‘지역 차별’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부산과 대전 등 비수도권의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선정이 제외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도지구 지정에 따른 정부의 지원 등을 기대할 수 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다만 정부는 비수도권의 지자체가 선도지구 준비를 마치면 적극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1기 신도시의 경우 이미 기본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해 선도지구 지정이 가능해 우선 추진하는 것”이라며 “노후계획도시정비를 지방까지 확대 추진한 것이 정부인만큼 전국적으로 정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 1기 신도시 2030년 입주
- 분당 파크타운, 선도지구 지정 경쟁 ‘속도전’ 돌입
- 2030년 입주? 감언이설이다
- 대전시, 내달 12일 노후계획도시 주민설명회
- 성남시, 선도지구 공모지침 논의
- 평촌신도시 선도지구 물량 4,000세대+α
- ‘1기 신도시 중 최다’ 분당 선도지구 최대 1만2,000세대 지정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최대 3만호 이상… 주민동의가 선정 당락 가른다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올해 2만6,000세대 선정
- 노후계획도시정비특별위원회 첫 번째 회의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체크포인트] 기존 임의동의서 효력 없어… 이주 지연 조합원은 손해배상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체크포인트] 국토부 “지방도 선도지구 선정 적극 지원”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체크포인트] 하반기 1기 신도시별 이주대책 마련
- 1기 신도시 설문조사로 이주계획 수립… 이주단지 조성은 철회
- 내일 1기 신도시 선도지구 공모
- 대토신·코람코, 정자일로 예비신탁사 지정 업무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