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용지가 부족한 도심 내에서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오는 2030년까지 수도권 1만8,000세대 착공이 목표다.
먼저 사업 요건이 완화된다. 사업시행자가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제출한 경우에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가로구역 요건이 개선된다. 지금은 도로 및 예정도로, 기반시설로 둘러싸인 지역에서 사업을 추진할 수 있지만 앞으로는 설치 예정 기반시설도 허용된다.
신탁업자의 사업시행자 지정 요건도 완화된다. 현재는 사업면적 1/3 이상 토지 신탁과 주민 동의요건을 충족해야 하지만 앞으로 토지 신탁요건이 삭제된다.
임대주택 공급 시 사업비 기금융자 한도 역시 확대된다. 융자한도는 총사업비의 50%인데 임대주택을 20% 이상 공급하면 70%까지 적용된다. 앞으로 임대주택 10% 이상 20% 미만 공급하면 총사업비의 60% 적용이 추가된다.
또 도심 내 방치된 빈집을 정비하기 위해 빈집정비촉진구역이 도입된다. 이를 위해 빈 건축물 정비 특별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빈집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개발할 경우 용적률과 건폐율을 법적상한의 1,3배로 완화한다. 다만 난개발 방지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 개발 시 적용이 가능하도록 시행령으로 규정한다.
소유주 부재로 인한 사업지연을 막기 위해 촉진지역 내 공공정비사업은 동의율 집계 시 소재불명 세대를 모수에서 제외한다. 아울러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상 빈집밀지구역은 1만㎡ 미만이지만 빈 건축물 정비 특별법에서는 10만㎡로 완화한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공공정비사업] 공공재개발·재건축에 상한용적률 최고 수준 확대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리모델링]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없이도 리모델링 가능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사업성 개선 방안] 준공업지역도 별도 공공기여 없이 현황용적률 인정
- 정부, 재개발·재건축 사업기간 최대 3년 줄인다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도심복합사업] 공공 도심복합사업 시즌 2… 저층주거지도 용적률 1.4배 적용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1기 신도시] 1기 신도시 주민 직접 제안 방식 전면 도입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공공택지] LH가 공공택지 직접 시행… `30년 수도권 6만호 착공
-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방안/투기방지] 고가주택 등 거래 집중조사… 토허구역 지정권도 확대
- 대한주택건설협회 “이재명 정부 첫 주택공급 확대방안” 환영
- 李, 재고 창고까지 꺼내 주택공급 총력
- 한주협, ‘9·7대책’ 주택공급 확대방안 정책 특강
- 내달 28일까지 LH참여형 소규모주택정비사업 공모
- 국토부, 빈 건축물 정비 특별법 제정안 연내 발의
- 국토부, 소규모주택정비 활성화 착수… 문턱 낮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