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택경제신문이 창간 10주년을 맞이했다. 본지가 지난 10년 동안 기록해온 정비사업 시장은 순풍에 돛을 단 시기가 아니라 정책적으로 변혁의 물결이 몰아친 격동기였으며, 시장 역시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이번 발행을 통해 지령 440호를 헤아리게 된 한국주택경제신문 지면들은 정책 분석과 시장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담아 정비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모색이 담겨 있다.

정비사업은 지속해서 정책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완화, 서울시 시공자 선정 시기 조합설립인가 이후 단계로의 조기화, 1기 신도시 재정비 등 모두 시장 안정화를 이유로 시행된 정책들이다.

본지는 정비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규제 완화에 공감하면서도 부작용이 발생할 여지는 없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을 동반했다. 

예컨대 현 시점에서 정비사업이 총선용 표퓰리즘에 이용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정부는 1기 신도시 재정비를 포함해 재건축 활성화 방침을 밝혔다. 용적률, 안전진단 등을 완화시켜주겠다는 게 핵심인데, 기반시설 부족 및 미분양 리스크 등에 대한 문제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물론 총선 이후 공약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 지는 지켜볼 일이다.

언론은 날카로우면서도 다각화된 시선으로 사안을 살피고, 독자에게 전달해야 한다. 정책과 시장의 연결고리로써 정확한 사실을 독자들에게 알리고, 스스로에게 판단을 맡겨야 한다. 

정비사업처럼 민감한 요소를 다루는 전문지라면 세심한 정보전달에 더 신경 써야 한다. 정비사업은 구도심 주택공급을 위한 유일한 수단이자 방법이다. 사업성과 공공성, 두 가지 요소에 대한 적절한 분배가 이뤄져야 원활한 추진이 가능한 민감한 영역이다. 그만큼 정부 정책 간섭도 많은 분야다. 정비사업 전문지라면 세심한 정보전달에 더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다. 지면이란 공간을 통해 글과 사진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독자의 이해에 방해받지 않도록 정성을 들여야 한다.

한국주택경제신문은 정비사업 관련 정책과 제도의 허상, 명암을 바로 보고 왜곡을 잡겠다는 마음가짐으로 10년 전 출발했다. 독자들에게 다가간 짧지 않은 보람의 시간이다. 앞으로도 한국주택경제신문은 정비사업 관계자들에게 선한 영향력이 되고, 정비사업 발전에 작은 불씨가 되길 희망한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