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新) 주택보급률 [자료=통계청]
신(新) 주택보급률 [자료=통계청]

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3.7%로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 2020년부터 수도권과 지방 모두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인구는 줄고 있지만 1인가구 분화로 가구 수는 증가했는데 주택 수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23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1%로 1년 새 0.1%p 줄었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2010년(100.5%)부터 2019년(104.8%)까지 꾸준히 오르다가 2020년 103.6%로 꺾였고 2022년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거주 가구 수에 비해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다.

이 가운데 주목할 점은 2020년부터 수도권과 지방 주택보급률이 동시 하락했다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주택보급률이 △2020년 96% △2021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로 줄었다. 2022년 수치는 2009년(93.1%)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다.

2022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09만8,8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3만9,800호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5만9,000호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8.6%) △인천(97.9%) △대전(97.2%) 4곳이다. 지난 2019년까지 주택보급률이 100% 아래였던 곳은 서울이 유일했는데, 수도권 지역도 주택보급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비수도권 주택보급률은 △2019년 110.1% △2020년 108.9% △2021년 107.4% △2022년 107.5%로 줄었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3.2%) △전남(112.4%) △충북(111.6%) △충남(110.3%) 강원(110%) 순이다.

한국주택정비사업조합협회 엄정진 사무국장은 “서울의 경우 가용택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집을 지을 땅이 없다”면서 “재건축·재개발을 통한 공급도 원활하지 않아 늘어나는 가구 수를 맞추지 못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