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군포시가 산본신도시 재건축 정비기본계획을 지난달 31일 고시했다. 시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해 경기도 승인을 받아 이날 고시했다. 이로써 노후된 산본신도시의 도시기능 강화는 물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군포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은 양질의 주거공간과 자족 인프라 확충을 통해 ‘RISE-UP 산본’을 비전으로 정했다. 정비기본계획에는 △노후계획도시 계획 수립의 배경 △산본신도시 현황 △정비기본방향 △건축물의 밀도계획 등 부문별 계획을 포함한 단계별 추진계획 등이 담겼다. 향후 구역별 특별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토대가 되는 계획이다.
고시문에 따르면 대상은 산본신도시 420만4,186.5㎡와 연접지역은 4만5,451.7㎡다. 특별정비예정구역은 주택단지정비형이 원칙으로 총 16개 구역인데 △한성목화·무궁화주공·화성무궁화 △충무1차·충무2차 △퇴계1차·퇴계2차·율곡주공 △삼익소월·다산주공 △한라2차 △가야2차·가야3차 △세종주공·삼익을지 △대림솔거 △설악주공·한양수리·계룡삼환·덕유주공 △금강1차·금강2차·롯데묘향 △동성백두·한양백두·극동백두(선도지구) △주몽1차·주몽2차·주몽대림 △산본주공·삼성장미·자이백합(선도지구) △한양목련·우방목련·신안모란 △우성동백 △매화1차·매화2차 등이다. 2022년 12월 기준 특별정비예정구역의 세대수는 3만5,652세대로 오는 2035년 5만130세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선도지구로 선정된 4,620세대를 정비물량으로 우선 추진한다. 또 잔여 세대에 대해 2035년까지 매년 1~2개 구역 정비사업 추진을 통해 단계벌 정비물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시장 과열이나 전세대란 등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처분과 인·허가를 통해 물량을 조절하겠다는 것이다.
특별정비예정구역 외 지역 중 공동주택은 △한라1·가야1(재건축) △충무2·우륵·개나리(리모델링) △금강2(주상복합) 등 3곳으로 기존 세대수는 6,755세대로 2035년 8,588세대로 늘어나게 된다.
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정비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선도지구의 특별정비계획 수립 등을 지원해 차질 없는 1기 신도시 정비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노후계획도시의 재정비를 통해 지역 발전과 함께 살고 싶은 산본신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행정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선도지구 외 구역에 대한 정비물량 선정 등과 관련해 국토교통부, 경기도 및 1기신도시 지자체 간 협의 중에 있다. 구역별 정비계획 수립시기를 단계별로 제시하는 등 순차 정비방안 마련 후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안내할 계획이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군포시, 자이백합 등 2곳 선도지구 선정
- [조명 | 군포시 재개발] 군포 구시가지 일대, 재개발로 환골탈태… 내후년에 ‘첫삽’
- 군포시, 산본신도시 기준용적률 207→330%로 상향
- 1기 신도시 정비계획에 추정분담금 명시해야
- [노후계획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림 지침] 토지등소유자가 특별정비구역 지정 제안 가능
- 군포 재개발 8곳 줄줄이 시공자 선정 대기… 대형사 집결
- 6월 1기 신도시 선도지구 후속 특별정비구역 윤곽
- 국토부·군포시, 선도지구 주민간담회 개최
- 안양 평촌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승인
- 경기도, 분당·일산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승인
- 한양백두·극동백두·동성백두, 예비사업시행자로 LH 지정 신청
- 선도지구 11구역도 예비사업시행자로 LH 지정 신청
- 선도지구 9-2구역, 예비사업시행자로 LH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