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9개 노후계획도시가 정비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평촌 신도시 재건축 기본계획안도 공개된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오는 30일 전국 23개 노후계획도시 지자체가 참여하는 협의체 2차 회의를 열고 전국 노후계획도시의 기본계획 수립 추진 현황을 점검한다. 같은 날 안양시는 평촌 신도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마련해 주민공람을 시작한다.
지난 14일 국토부가 노후계획도시의 기본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이 되는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방침(안)을 공개함에 따라 1기 신도시 외 전국 노후계획도시도 기본계획 수립이 본격화됐다.
특히 부산시, 수원시, 용인시, 안산시는 관내 노후계획도시 9곳의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고, 내년 8월부터 2026년 7월에 수립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시, 대전시 등 노후계획도시 지자체 10곳도 내년 상반기까지 기본계획 수립 용역 등에 착수한다. 서울시와 대구시 등 협의체에 참석하는 나머지 지자체도 기본계획 수립 일정 등이 구체화되는 대로 관련 절차를 이행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기본방침(안)이 마련된 만큼 협의체를 통한 기본계획 수립 단계별 자문, 찾아가는 지자체 간담회, 선도지구 지정 협의 등 전 방위적 지원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선도지구와 관련해 지자체는 특별정비예정구역 등이 구체화되면 계획수립 완료 전이라도 선도지구 공모 등을 추진 검토한다는 입장이며, 국토부는 이를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평촌 신도시는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평촌’을 비전으로 정비된다. 평촌 신도시의 기준용적률은 330%(現 평균용적률 204%)이며 이를 통해 주택 1만8,000세대 추가 공급 기반이 마련된다.
국토부 정우진 도시정비기획단장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공모와 기본계획(안) 수립을 차질 없이 추진함과 동시에 전국 노후계획도시도 지역 특성에 맞는 기본계획이 조속히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 안산시,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수립 나섰다
- 대전시, 25일까지 노후계획도시 2차 설문조사
- 경기도, 1기 신도시 정비기본계획 승인 절반으로 단축
- 부천시, 중동 1기 신도시 정비기본계획안 공람
- 군포시, 산본신도시 기준용적률 207→330%로 상향
- 용인시, 수지1·2지구, 구갈1·2지구 통합개발 유도
- 국토부 “영구임대 재건축해 신도시 이주주택으로 활용”
- 국토부, 중동·산본부터 신도시 정비사업 밑그림 공개
- 안양시, 평촌신도시 기준용적률 330%로
- 일산 신도시 재건축 기준 용적률 300%
- 안양시, 평촌 신도시 재건축 공공기여 15→10%로 완화
- [선도지구 선정 지자체] 안양시, 꿈마을금호 등 3곳 선도지구 선정
- 진현환 1치관 “선도지구 후속 절차 즉시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