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의 정비사업 수주 행보를 두고 연일 구설수가 나오고 있다. 서울 용산구 남영2구역의 경우 정비계획 범위를 벗어난 대안설계로 입찰 무효 단초를 제공한데다 한남4구역에서도 입찰조건 수정을 요구하면서 조합과 마찰을 빚고 있다.
먼저 남영2구역은 삼성물산이 제시한 대안설계가 정비계획 범위를 벗어나면서 입찰 무효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조합은 지난 19일 이사회를 열고 입찰참여자의 입찰 무효로 인한 유찰 처리 안건 등을 의결했다. 조만간 대의원회를 열고 해당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앞서 삼성물산은 지난달 남영2구역 입찰에 참여하면서 정비계획을 벗어난 대안설계로 입찰지침 및 서울시 공공지원 정비사업 시공자 선정기준 위반 논란을 키웠다.
삼성물산은 주거비율을 임의로 조정했다. 대안설계에 따르면 주거비율의 경우 약 59.9%를 적용했다. 이는 정비계획상 주거비율인 약 57.5%에서 약 2.4%p 초과한 수치다. 정비계획상 주거 용적률도 약 477%이지만, 약 520%를 제안하면서 약 40%p를 뛰어 넘었다.
입찰지침과 서울시 공공지원 시공자 선정 기준 등을 모두 위반한 것이다. 조합은 입찰지침서에 ‘건축물의 건폐율, 용적률, 최고 높이 확대, 정비구역 면적 증가 및 정비기반시설 변경은 불가하다’고 명시했다. 시공자 선정 기준 역시 제4조제2항에서 설계도서 작성은 정비계획 범위 내에서 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두고 용산구청도 ‘시공자 선정을 위한 대안설계에 대한 질의 회신’ 공문을 통해 ‘상업지역 내 세대수 증가를 통한 주거비율 상향은 중대한 변경’이라는 취지로 답변했다.
결론적으로는 삼성물산이 입찰무효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입찰 무효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공자 선정 시기가 미뤄졌고, 조합원 분담금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삼성물산은 시공자 선정을 앞두고 있는 한남4구역에서도 입찰조건 수정을 요구하면서 조합과 마찰을 빚고 있다. 아직 입찰공고가 나기 전인데도 불구하고 조합의 시공자 선정 계획안 등을 입수한 뒤 조합원들과의 개별 접촉을 통해 입찰조건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삼성물산은 책임준공 확약서 제출, 상가 대물 변제, 우회도로 공사 시공사 부담 등 주요 3가지 내용을 포함해 다수 조건들에 대한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의 안정적인 사업 추진 기반마련과 달리, 삼성물산은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일례로 책임준공의 경우 공사를 중단하지 않고 약속한 기일까지 공사를 완료하기 위한 내용이다. 일선 조합이 시공자 선정에 나서면서 빠른 입주를 통해 금융비용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러한 조건을 두고 수정을 요구하는 것은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조합은 시공자 선정 계획안 자체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내부 문서로, 삼성물산에 계획안을 공개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삼성물산이 자사를 배제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만든 계획안인양 조합원을 선동하고 있는 행위에 대해 절대 묵과하지 않겠다고 부연했다.
한편, 한남4구역은 이달 31일 시공자 선정 입찰공고를 낼 예정이다. 올해 안에 시공자 선정을 목표로 재개발을 추진 중이다. 사업계획에 따르면 용산구 보광동 360번지 일대로 면적이 16만258㎡이다. 지하4~지상23층 높이의 아파트 2,331세대 규모가 들어설 전망이다. 공사비는 약 1조5,700억원 규모로 파악됐다.
이혁기 기자 lee@ar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