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민간재개발 후보지 21곳에 대해 연내 신통기획안 수립에 들어간다. 현재 각 자치구별로 정비계획 수립을 준비중인데, 올해 안으로 신속통합기획안을 수립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정비구역 지정 절차를 밟게 된다. 21곳에서 사업이 완료되면 약 2만5,000호가 신규로 공급될 예정이다.
시는 오세훈 시장의 6대 재개발 규제 완화책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창신·숭인 등 민간재개발 후보지 21곳이 속도감 있게 사업추진 절차를 밟고 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이날 오 시장은 창신·숭인지역을 방문해 추진상황을 점검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실질적이고 물리적인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창신·숭인지역은 지난 2010년 재정비촉진사업이 추진됐지만 2013년 구역이 해제되는 부침을 겪은 곳이다. 이후 2014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됐고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은 2019년 모두 완료됐다. 현재는 일부 연계사업만 남겨둔 상태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성과도 있었다. 하지만 노후 저층주거지의 경우 주택공급과 기반시설 등 물리적 환경개선이 미흡하다는 한계도 명확했다. 결국 시민들의 불만도 누적돼 왔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오 시장 취임 이후 보존에 치우쳐있던 도시재생을 개발과 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2세대 도시재생’을 본격화했다. 창신·숭인은 오세훈표 규제완화와 2세대 도시재생을 통해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지역이다.
특히 2015년 이후 구역지정이 0건일 정도로 막혀 있던 재개발의 경우 오 시장 취임 이후 가능한 모든 규제완화책을 폈다. 실제로 취임 한 달 만인 작년 5월 신속통합기획을 전면 도입하고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6대 재개발 규제완화책을 발표했다. 이후 작년 말 민간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통해 재생지역 4곳, 해제지역 3곳을 포함한 신규 후보지 21곳을 선정했다.
현재 서울에서는 민간 재개발 후보지 21곳을 포함해 총 33곳에서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재개발이 추진 중이다. 이들 구역의 사업이 완료될 경우 공급 가능한 물량은 약 4만3,000호로 예상된다. 시는 오는 2025년까지 13만호(구역지정 기준)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시는 그동안 일률적으로 적용했던 35층 높이제한과 한강변 15층 높이제한 삭제 등을 담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3월 초 발표했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