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정비사업 활성화 대책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인천시 제공]
원도심 정비사업 활성화 대책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인천시 제공]

인천시내 원도심 재개발·재건축 및 노후계획도시 기본계획의 밑그림이 이르면 내달 공개된다. 시는 지난 23일 도시균형국 기자간담회를 열고 원도심과 노후계획도시의 체계적인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시는 2030 인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타당성 검토와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다. 정비기본계획은 경제자유구역을 뺀 인천 도시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노후계획도시는 조성된 지 20년이 경과한 100만㎡ 이상 택지로 △연수(621만㎡) △구월(126만㎡) △계산(161만㎡) △갈산·부평·부개(161만㎡) △만수1·2·3지구(145만㎡) 등이다.

시는 이르면 내달 기본계획안 주민공람을 시작으로 시의회 의견청취,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 3월 확정·고시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시는 원도심 재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3가지를 내놨다. 재개발 정비계획을 수립할 때 필요한 주민 동의 비율을 기존 60%에서 50%로 낮춰 사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원도심 정비사업 활성화 대책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인천시 제공]
원도심 정비사업 활성화 대책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인천시 제공]

정비계획 기준용적률도 상향해 사업성을 높인다. 일례로 제3종일반주거지역의 기준 용적률을 275%에서 275%+알파(α)로 늘리고 인구 밀도가 높은 주거단지는 현황 용적률을 그대로 인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밖에 지역 건설업체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항목도 강화해 지역 건설 경기 회복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노후계획도시는 노후계획도시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5곳이 포함됐다. 시는 도시계획 및 건축 전문가인 미래도시 총괄계획가(MP)를 운영하고 있으며 25개 유관 기관과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전문팀(TF)을 구성해 협업 체계를 강화했다.

또 산업·문화·환경 등 각 분야 전문가 자문단을 통해 정기적인 자문과 실무회의를 진행해 노후계획도시 비전에 부합하는 실행 방안을 계획에 반영하고 있다. 작년 10월 용역 착수 이후 5개 지구를 대상으로 주민 사전 설명회를 두 차례 개최했으며 전문가 자문회의 및 TF 회의, 포럼 등을 거쳐 실효성 있는 대안을 도출했다.

특히 정부에서 지난 9월 7일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에서 제시한 개선책을 반영해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장두홍 인천시 도시균형국장은 “이번 정비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원도심의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고 인천의 역사와 정체성이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며 “앞으로도 낙후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조화롭고 지속 가능한 도시의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