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 [사진=심민규 기자]
서울시청 [사진=심민규 기자]

서울시가 상업지역 내 주상복합건물의 주거·비주거 비율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재정비한다. 도심 내 주택공급을 확대하면서 적정한 상업·업무비설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시는 지난 25일 지역별 상업공간의 수요 현황을 진단하고, 검토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용역을 통해 상업공간의 수요와 공급 현황을 면밀히 분석해 구체적인 상업지역의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시는 상업지역 특성 등을 감안해 주거복합건축물의 비주거 비율을 연면적 20% 이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 복합쇼핑몰 수요와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소비패턴이 변화하고, 도심 내 주택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현재 주거복합건축물의 주거·비주거 비율이 적정한지에 대해 들여다보겠다는 방침이다.

이광구 도시계획과장은 “이번 용역은 상업지역 내 지역 맞춤 주거·비주거 적정 비율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라며 “서울시 각 지역에 필요한 용도가 적재적소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계획을 유도해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