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내년 3월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을 확정한다. 시는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타당성 검토와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먼저 시는 원도심과 노후계획도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절차들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현재는 기초조사를 마치고 정비방향과 실행전략을 구체화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정비기본계획 타당성 검토는 경제자유구역을 제외한 인천 도시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은 연수, 구월, 계산, 갈산·부평·부개, 만수1·2·3지구 등 20년 이상 경과한 100만㎡ 이상 택지가 대상이다.
시는 2030 정비기본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해 관련 법령과 정책 변화에 부합하는 실행가능한 계획으로 바꿀 예정이다. 또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목표와 방향도 구체화해 미래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주민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토론회 및 설명회도 병행 추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특히 국토교통부와의 사전 협의, 한국토지주택공사(LH) 미래도시지원센터 전문가 컨설팅, 합동 현장점검 등을 통해 중앙정부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특히 2030 정비기본계획에서 변화된 법·제도 및 도시 여건을 반영하고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기준도 보완하고 있다.
이종신 시 도시균형국장은 “이번 정비기본계획 수립은 원도심과 노후계획도시가 조화롭게 성장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방향을 설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며 “인천시민이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살기 좋고 품격 있는 미래도시의 토대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 9월까지 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10월부터는 주민 공람과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내년 3월 최종 기본계획 확정·고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혁기 기자 lee@ar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