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난 30일 노후계획도시정비 추진단을 발족하고 킥오프 회의를 진행했다. [사진=인천시]
인천시가 지난 30일 노후계획도시정비 추진단을 발족하고 킥오프 회의를 진행했다.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만수지구 등 대규모 노후택지지구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시는 지난 30일 유관부서와 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후계획도시정비 추진단(T/F)’을 구성·운영하고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추진단장에는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이, 부단장은 도시균형국장이 맡는다. 또 주거정비과와 도시계획과 등 11개 부서와 교육청, 5개 구청, 인천도시공사,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등도 추진단에 포함됐다.

추진단의 협업내용으로는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분야별 법정계획 부합 여부 사전 검토 △도로, 학교 등 주요 기반시설의 체계적 정비 방안 마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공유 △행정절차 지원 등에 관한 사항 △전문분야별 자문 등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새로운 제도에 대한 설명과 향후 T/F 운영계획, 협업과제 등이 논의됐다.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은 지난 4월 시행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노후계획도시를 정비하기 위해 마련하는 계획이다. 노후계획도시는 택지개발촉진법 등에 따라 조성된 후 20년 이상이 경과하고, 100만㎡ 이상인 지역이다.

현재 인천시에는 621만㎡ 규모의 연수지구(1994년 조성)를 비롯해 구월지구(1991년·126만㎡), 계산지구(1998년·161만㎡), 부평·갈산·부개지구(1988~1999년·161만㎡), 만수1·2·3지구(1992년·145만㎡) 등 5곳이 노후계획도시 정비대상이다.

시는 8월 중에 용역업체를 선정해 9월 용역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기본계획안을 작성해 주민공람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이행해 2026년 2월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노후계획도시정비 추진단의 구성과 첫 회의를 통해 인천시가 노후계획도시를 미래도시로 탈바꿈시키는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며 “이번 계획은 단순 정비를 넘어 100년을 내다볼 수 있는 미래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일자리와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