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16개 구·군에 재개발·재건축사업의 신속한 착공을 위해 인허가 등 행정절차 지원을 당부했다. 관급공사 조기 발주도 지시했다. 시는 지난달 28일 이런 내용의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 방안 회의를 개최했다.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관련 실·국장, 16개 구·군의 건설 관련 국장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건설업의 부진과 부동산 시장 위축으로 침체된 지역 건설·부동산 경기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다. 앞서 지난 1월 부산연구원은 부동산·건설 분야에 ‘경계’ 진단을 내린 바 있다.
이날 대책 회의에서는 △공공분야 및 민간건설사업 물량 확대를 통한 건설산업 활성화 제고 △시 역점추진사업 지역업체 참여 지원 △지역하도급 참여율 제고 △주택경기 활성화 대응 방안 등이 논의됐다.
먼저 시는 관급공사 조기 발주와 민간 건설사업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신속히 처리하고 공공분야 및 민간 건설사업 물량 확대를 통해 침체된 건설경기를 진작할 계획이다. 이에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시 및 사업소 등 관급공사 발주부서에 조기 발주를 지시하고 16개 구·군에 재개발·재건축사업 현장의 신속한 착공을 위한 인·허가 등 행정절차 지원도 당부했다.
특히 시 역점 추진사업에 지역업체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건설대기업 방문, 관련 중앙부처 협의 등 지속해서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최근 미분양 증가 등으로 심각한 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해 주택건설 경기와 시장동향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인·허가 실적과 주택공급 실적 추이 등을 지속해서 관찰한다는 방침이다. 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에 제도개선을 건의하는 등 지역 주택경기 활성화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김광회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부동산·건설경기 위기에 따라 긴급하게 대책 회의를 마련했다”며 “지역 건설업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관급공사 조기발주와 지역하도급률 제고 등에 관한 추진 상황을 지속해서 관리하겠다”고 전했다.
홍영주 기자 hong@ar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