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협력사 중심의 성과공유제를 도입하며 건설업계 동반성장과 상호협력을 강화한다.
현대건설은 협력사 제안 기반의 설계·구매·시공 최적화 성과를 함께 공유하는 ‘성과공유형 VE(Value Engineering) 보상제도’를 본격 가동한다고 29일 밝혔다.
현대건설이 새롭게 도입하는 이 제도는 협력사가 제안한 설계·구매·시공 VE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품질혁신·작업공정개선 등을 통한 원가절감 활동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협력사가 창출한 성과의 50%를 보상하는 구조다. 국내 건설사 가운데 해당 방식의 성과 보상 제도를 공식 도입한 것은 현대건설이 처음이다.
성과공유형 VE 보상제도는 총 7단계로 구성된 표준 절차에 따라 운영된다. 협력사 제안은 1차 타당성 검토와 2차 실효성 평가를 거쳐 VE 제안서 제출, 계약 변경, 공사수행, 성과 정산으로 이어지며 성과 지급 방법 및 정산 기준 등도 명확히 마련했다.
특히 품질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평가 체계를 갖췄다. VE 제안은 발주처 품질 기준 부합 여부, 공정 지연 가능성, 안전성 저하 여부 등을 포함해 다각적으로 검토되며 실효성과 실행 가능성이 확인된 경우에 한해 채택된다.
이번 제도는 토목·뉴에너지·플랜트 사업본부의 국내외 자재 및 하도급 계약 현장을 대상으로 우선 시행되며 향후 건축·주택 사업본부까지 확대 적용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제도는 협력사의 기술 제안을 제도적으로 수용하고 실질적인 성과로 환원하는 구조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기술 기반의 협력 체계를 고도화해 장기적인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건설은 협력사의 기술 역량을 발굴하고 현장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3월 협력사 우수기술 제안센터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등록 협력사는 물론 건설 관련 기술과 제품 역량을 보유한 국내외 기업 누구나 홈페이지를 통해 제안할 수 있다. 개설 이후 4개월간 150건 이상이 접수됐으며, 제안된 우수기술은 품질 개선과 공정 효율화 등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홍영주 기자 hong@ar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