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 금호23구역 [사진=네이버 거리뷰]
서울 성동구 금호23구역 [사진=네이버 거리뷰]

서울 성동구 금호23구역의 공공재개발사업 진행 여부가 오는 6월 중 결정될 전망이다.

시는 오는 6월 중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 소위원회를 열고 금호23구역의 후보지 해제에 대한 안건을 상정해 논의할 방침이라고 지난 20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해당 안건이 통과될 경우 공공재개발 후보지로는 최초로 해제 수순을 밟게 된다.

이번 소위원회는 지난 4월 성동구청이 주민 반대가 30% 이상 충족된 주민의견조사 결과를 반영해 공공재개발 후보지 해제 요청을 하면서 계획됐다. 앞서 구는 지난 3월 29일 금호23구역 공공재개발사업 추진 여부에 대한 주민의견조사 결과를 공고했다.

해당 의견조사는 지난 2월 16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됐다. 당시 토지등소유자 34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09명이 참여했다. 참여한 309명 중 사업 찬성은 190명, 사업 반대는 105명으로 각각 54.9%, 30.3% 비율을 보였다. 반대 105명 중 84명은 민간재개발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혔고, 나머지 21명은 재개발을 반대했다. 무효·기권은 각각 14명, 37명이다.

당시 구는 토지등소유자 2/3 이상 또는 찬성 60% 이상, 반대 15% 미만을 동시에 충족할 시에 입안제안 신청서를 접수하면 정비계획 입안 절차를 진행한다는 구상이었다. 반대가 30% 이상일 경우에는 시에 공공재개발 후보지 해제를 요청할 예정이었다. 이에 따라 구는 지난 4월 시에 후보지 해제를 요청했고, 이번 회의 결과에 따라 해제 여부가 결정된다.

서울시청 관계자는 “정확한 날짜는 공개할 수 없지만 다음 달 중 금호23구역에 대한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 소위원회가 열리는 것은 맞다”며 “만약 후보지에서 해제될 경우 공공재개발로는 최초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최초 사례인 만큼 결과를 예상하긴 어렵지만 주민과 구청의 의견을 많이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호23구역은 지난 2021년 3월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공공재개발이 시작됐다. 올해 초에는 토지등소유자 60% 이상, 면적의 50% 이상 동의를 확보하면서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입안제안 동의율도 충족한 바 있다.

이호준 기자 leejr@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