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대문구 전농9구역이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본격적인 공공재개발사업 추진에 나선다.
29일 LH는 공공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전농9구역이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정비계획 입안제안 이후 약 1년 만이다. 현재 사업시행자 지정·고시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개략적인 사업계획에 따르면 이 구역은 동대문구 전농동 103-236번지 일대로 면적이 4만9,061㎡이다. 용적률 300% 이하를 적용해 최고 35층 높이의 아파트 1,159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짓는다.
이로써 지지부진했던 정비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구역은 지난 2004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된 후 2007년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돼 민간재개발을 추진했던 사업장이다. 하지만 부동산시장 침체 등으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었고, 2014년 행위제한이 해제된 이후 예정구역 내 신축 건물이 들어서는 등 이른바 지분쪼개기로 현금청산이 우려됐다. 2021년 3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에도 신축빌라 토지등소유자 등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가 결성돼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에 LH는 신축빌라 토지등소유자와 기존 주민들간에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했고, 원활한 합의점을 이끌어냈다.
김삼금 전농9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장은 “LH가 적극적으로 갈등을 중재하고 전문성을 토대로 혜안을 발휘하면서 원활한 사업 추진 기반이 마련됐다”며 “공공재개발을 통해 주거환경개선은 물론 삶의 질 상승에 앞장설 것”이라고 다짐했다.
LH는 내년 사업시행인가를 목표로 주택공급계획 및 설계를 구체화 할 계획이다. 오는 2026년 착공해 2029년 입주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오주헌 LH 서울지역본부장은 “전농9구역은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약 2년여 만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공공이 참여해 이해관계자들간에 갈등을 조정한 대표적인 성공사례다”며 “구도심 내 양질의 신규주택 공급을 통한 지역주민들의 주거안정과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H가 추진 중인 신설1·거여새마을구역 등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공공재개발사업이 순항 중이라는 평가다. 신설1구역의 경우 7월 중 시공자 선정 총회 개최가 예정됐다. 거여새마을구역도 정비구역 지정 및 LH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한 후 올해 6월 주민대표회의가 구성되면서 연내 시공자 선정을 목표로 두고 있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