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랑구 상봉9재정비촉진구역 위치도 [자료=서울시]
서울 중랑구 상봉9재정비촉진구역 위치도 [자료=서울시]

서울 중랑구 상봉9재정비촉진구역이 대규모 복합 문화시설이 포함된 주상복합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중랑구의 교통허브였던 상봉터미널은 전시장과 컨퍼런스홀 등을 갖춘 동북권의 대표 복합문화시설로 변모한다.

시는 지난 27일 도시재정비위원회를 개최해 ‘상봉9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한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안은 시가 상봉9구역 기부채납시설로 계획했던 ‘여객자동차터미널 및 공공청사’를 문화시설로 변경하는데 동의한 내용이 담겨있다.

상봉터미널은 이용객 수 감소로 운영사업자가 폐업을 신청했다. 이에 시는 지난 2023년 12월 폐업을 허가했고, 중랑구와 협의해 문화시설로 조성을 결정했다. 해당 터미널은 2015년 4월 16일 상봉9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되어 주거·상업·문화가 어우러진 복합단지로 개발이 본격화됐다.

서울 중랑구 상봉9재정비촉진구역 문화시설 조감도(안) [자료=서울시]
서울 중랑구 상봉9재정비촉진구역 문화시설 조감도(안) [자료=서울시]

상봉9구역은 중랑구 상봉동 83-1번지 일대로 지상 49층, 연면적 약 29만㎡ 규모의 주상복합 5개 동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999세대와 오피스텔 308실 등을 공급할 예정이다. 저층부에는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판매·문화시설 등이 들어선다.

특히 이번 변경안에 따라 상봉동 83-3 일원에 지상 4층, 지하 3층, 연면적 5,560㎡ 규모로 전시공간, 컨벤션(공공예식장)을 갖춘 대규모 문화시설이 조성된다. 주상복합단지와 함께 2029년 5월 준공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한편 상봉터미널의 원주행 시외버스 정류장은 상봉로 노상 임시정류장에서 운영 중이며, 사업 완료 후에는 버스베이를 조성해 지속 운영된다.

최진석 주택실장은 “문화와 생활이 공존하는 상봉터미널의 변화는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동시에 동북권 지역 중심공간의 위상을 높일 것”이라며 “주민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거점 문화시설이 조성되어 문화가 흐르는 중랑구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