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대한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래픽=국토부 제공]
국토교통부가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대한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래픽=국토부 제공]

정부가 지난 2일 발표한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대한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일부 언론이 제기하고 있는 공사비 안정 대책에 대한 문제점을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국토부는 “연내 계획한 28개 과제를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면서 “특히 자재 분야는 시멘트·레미콘 등 건설자재 시장의 안정화를 위한 수급 안정화 협의체가 10월 14일부터 구성돼 수급 관련 애로사항 해소 및 업계 상생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불공정행위에 대한 합동점검반도 10월 11일부터 착수돼 시장 기능을 방해하는 불법적 구조·관행은 없는지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해외 시멘트 수입까지 오래 걸린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국토부는 “해외 시멘트 수입은 지속적인 시멘트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 건설업계에서 검토·논의 중인 사항”이라며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것은 시멘트 공급을 수입으로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원 다변화를 통해 시멘트 시장 기능이 원활히 작동하는 계기를 마련하려는 취지”라고 밝혔다. 이어 “자재 수급 안정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대책 중 하나”라며 “수입 시멘트의 품질·안전성에 대해서도 KS 인증 및 유통과정에 대한 수시 점검 등을 통해 엄격히 관리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