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가 지난 8개월 동안 기존무허가 건축물 전수조사와 집중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사진=중구 제공]
서울 중구가 지난 8개월 동안 기존무허가 건축물 전수조사와 집중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사진=중구 제공]

서울 중구가 재개발이나 신축 등으로 철거된 기존무허가건축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끝냈다. 구는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 동안 지난 1981년 이전 건물로 기존무허가 관리대장에 등재된 건축물 1,560여 개소에 대해 실태조사를 마쳤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구는 현장점검반 3개조를 꾸려 관리 대장 확인과 현장 실태조사를 병행하며 꼼꼼히 살폈다. 조사 결과 전체 1,560여개소 중 1,480개소는 변동이 없었지만 20여개소는 이미 멸실된 것으로 확인돼 관리 대장에서 정리했다. 또 소유자가 사망한 400여 건에 대해서는 상속인에게 명의 변경 신청 안내문을 발송했다.

특히 구는 안전이 우려되는 시설 20여개소를 안전취약시설로 분류하고, 구조안전 전문가의 정밀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구조적 결함이 있는 ‘불량’ 등급 건물이 2개소, 구조지지능력 등에 안전 문제가 있는 ‘미흡’ 등급 건물이 8개소, 구조상 문제가 없는 ‘보통’ 등급 건물이 10개소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던 최소 40여년 이상 경과된 기존무허가건축물의 현황을 전수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구는 앞으로도 재개발·신축 등으로 인한 멸실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 대장을 상시 업데이트해 체계적인 관리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김길성 구청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통해 구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중구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지수 기자 choi@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