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수도권에서 아파트 전셋값이 3.3㎡당 1,000만원 넘는 지역들이 크게 늘었다. 경기 광명시를 비롯해 서울 영등포구 등이 3.3㎡당 1,000만원을 돌파했다. 연초 900만원을 넘어선 동대문구는 현재 989만원으로 1,000만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2006년 강남구가 처음으로 1,000만원 시대=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2006년 서울 강남구가 처음으로 3.3㎡당 1,000만원을 돌파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다소 주춤했으나 이후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아파트 전셋값이 1,000만원을 넘는 지역도 꾸준히 늘었다. 


2006년에는 강남구가 유일했으나 2009년 서초구와 과천시가 1,000만원을 넘어섰다. 2013년에는 중구, 성동구 등 강북권 지역이 포함되면서 10곳으로 늘었고 2014년에는 과천시에 이어 성남시가 경기도에서 두 번째로 1,000만원을 넘어서면서 전국 자치구 중 수도권 자치구 14 곳이 3.3㎡당 1,000만원을 돌파했다.   


▲영등포·강서·성북, 광명 등 아파트 전셋값 1,000만원 넘어=올 들어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60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아파트 전셋값이 3.3㎡당 1,000만원 돌파하는 지역도 속출하고 있다. 영등포구를 비롯해 성북구, 강서구 등이 1,000만원 시대를 열었고 경기에서는 광명시가 과천시와 성남시에 이어 세 번째로 3.3㎡당 1,000만원 고지를 넘어섰다. 영등포구는 봄 이사철인 지난 3월 1,000만원을 넘어섰고 성북구와 강서구, 광명시 등은 8~9월에 1,000만원을 돌파했다. 이로써 10월 현재까지 수도권 자치구 18곳의 아파트 전셋값이 3.3㎡당 1,000만원을 넘어섰다. 


3.3㎡당 아파트 전셋값이 1.000만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는 자치구도 많다. 동대문구(991만원), 관악구(990만원), 서대문구(942만원), 구로구(908만원), 은평구(904만원), 안양시(953만원), 의왕시(923만원) 등은 올 들어 3.3㎡당 900만원을 넘어섰다. 특히 동대문구와 관악구는 연내 3.3㎡당 1,000만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구 수성구 아파트 전셋값, 금천·도봉구보다 비싸기도=지방에서는 3.3㎡당 아파트 전셋값이 1,000만원을 넘어선 곳은 아직 없고 대구 수성구가 3.3㎡당 8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금천구(794만원), 도봉구(759만원) 보다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수성구는 대구·경북지역의 명문고교로 꼽히는 경북고와 경신고 등이 자리잡고 있어 ‘맹모·맹부’들이 몰리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지방 대치동’, ‘대구의 8학군’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밖에 지방에서는 대구와 부산소재 자치구의 아파트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전셋값 1,000만원 돌파, 결코 달갑지 않은 소식=‘전세 난민’, ‘전세 부르는 게 값’ 등 요즘 ‘전세’하면 자주 붙는 수식어 중 하나다. 추석연휴로 수도권 전셋값 상승이 지난주 일시적으로 주춤하기는 했으나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로 전세매물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10월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이 도래하면서 전셋값 상승이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강남발(發) 재건축 이주 영향으로 전세난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월세시장 안정을 위해 단기적으로 주택 공급을 크게 늘릴 수 없다면 최소한의 전월세 가격 안정을 위한 단기적인 방안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현재 정부(서민주거복지특별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전월세 전환율 하향조정 및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설치 등을 여야 합의를 거쳐 조속히 처리하는 것이다. 


현재 정부는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전월세 전환율을 현행 6%에서 5% 수준으로 낮추고 과도한 임대료 인상을 막기 위해 시·도에 임대차 분쟁을 다루는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설치하는 안을 논의 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