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가 2세대 도시재생 방안을 내놨다. 보존 중심에서 개발·정비로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실질적인 주거환경 개선 효과가 미비하다는 점을 보완시키겠다는 게 핵심이다.

당초 도시재생은 전임 시장이 전면 철거 방식의 재개발·재건축을 지양하고, 소규모로 노후된 구도심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물리적인 정비는 물론 사회, 경제, 문화 등을 아우르는 기반을 다지는데 중점을 뒀다.

하지만 시범 사업장내 주민들 사이에서는 도시재생 반대 여론이 커졌다. 보존·관리에만 중점을 두면서 주택공급 확대와 기반시설을 충족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시가 시행한 여론조사를 살펴봐도 시민 73% 이상이 도시재생에 개발을 포함시켜야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주민들의 불만이 높은 대표적인 지역은 1세대 도시재생사업장으로 불리는 창신·숭인동 일대다. 시는 지난 2015년 이 일대를 1호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시범 사업장으로 선정하고, 약 2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했다. 그런데 약 6년 동안 도시재생으로 변화된 부분은 봉제역사관, 산마루 놀이터 등을 조성하는데 그쳤다. 열악한 주거환경은 그대로 방치됐다.

이후 정부가 공공재개발을 도입을 발표한 직후 창신·숭인동 일대에서는 도시재생에 반대하는 여론이 형성됐다. 주거환경 개선에 골자를 둔 재개발을 추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현재 이곳에서는 사업 추진 방향을 두고 주민들간에 이견차가 크다. 공공 주도의 도시재생사업은 주민갈등만 키운 셈이다.

1세대 도시재생은 이렇다 할 결과물을 내놓지 못했다. 도입한 지 수년이 지난 현재 ‘동네 꾸미기’ 수준에 머무르면서 주민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수백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사업은 주거환경 개선 대신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에만 치우치면서 혹평을 받았다.

2세대 도시재생은 보존·관리에서 개발로 패러다임을 전환했다. 이를 통해 시는 2026년까지 주택 2만4,000가구를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비와 국비 7,300억원 민간투자 6조4,600억원 등 총 7조900억원이 투입된다. 결국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공급 측면에서 재개발이 최선이라는 점을 공공도 인정한 것이다. 시장 평가는 도시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재개발을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2세대 도시재생으로 노후된 구도심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공급 확대 목표를 이루길 기대해본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