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대형사들을 중심으로 정비사업 수주 릴레이가 펼쳐지고 있다. 현대건설, GS건설, DL이앤씨, 포스코건설, SK에코플랜트 등이 나란히 재개발·재건축·리모델링 부문에서 마수걸이 수주에 성공했다. 다만, 경쟁을 거쳐 시공 깃발을 꽂은 사례는 전무하다.

올해부터는 금리와 원자재가격 인상 등의 요인으로 수의계약이 주를 이룰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출혈경쟁을 피하자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입찰공고 전부터 일찌감치 사업장을 선점한 건설사는 시공권의 주인으로 낙점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들린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해 정비사업 수주전에서도 포착됐다. 역대급 실적으로 수주킹 자리를 차지했던 현대건설의 경우다. 9조원을 뛰어 넘는 사상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수의계약으로 시공권을 거머쥐었다. 업계 맏형이라는 수식어가 무색할 정도다.

물론 경쟁도 있었다. 대전 서구 도마·변동5구역 재개발 수주전에서 GS건설과 컨소시엄을 이뤄 두산건설과 맞붙었다. 결과는 누가 봐도 뻔했다. 모두가 예상했듯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싱거운 승리로 마무리됐다.

현대건설은 올해도 기세를 이어 상반기부터 수주를 몰아치고 있다. 경기 일산 강선마을14단지 리모델링을 단독으로 수주했고, 괴정7구역은 SK와 컨소시엄을 이뤄 시공권을 따냈다.

울산 중구B-04구역에서도 추가 수주가 예상된다. 이곳 역시 무혈입성이 점쳐지고 있다. 당초 삼성물산과의 빅매치가 예측되기도 했지만, 번번이 유찰됐다. 그리고 조합이 입찰조건을 컨소시엄 불허에서 허용으로 변경한 후 기다렸다는 듯이 양사는 손을 잡았다.

건설사 입장에서도 경쟁을 회피하는 이유는 있다. 부동산 침체에 따른 미분양 우려 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경쟁’은 조합원 이익의 제반조건이다. 건설사는 수주를 위해 공사비, 특화내용 등의 부문에서 경쟁사보다 더 나은 사업조건을 제시할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조합원 이익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조합은 굳이 대형사만 고집할게 아니라 중견사로도 문호를 과감하게 개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브랜드 적용 여부에 따른 가치상승 기대감도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경쟁에서 비롯된 공사비 하향조정 등의 사업조건이 조합원 이익으로 귀결된다는 점도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