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홍영주 기자]
[그래픽=홍영주 기자]

상반기 건설사들의 정비사업·리모델링 수주 실적은 납부 규모에 따라 순위가 갈렸다. 입찰보증금을 납부한 규모가 상당할수록 수주실적도 높았던 셈이다.

본지가 상반기 건설사들의 정비사업과 리모델링 수주현황을 조사한 결과 현재(2022.05.20. 기준) 실적 TOP3 건설사 중 1위는 현대건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홍영주 기자]
[그래픽=홍영주 기자]

현대는 수주 경쟁에서 철옹성과 같은 실적으로 ‘수주킹’ 자리 굳히기에 나섰다. 벌써 5조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올초 대구 남구 봉덕1동 재개발을 시작으로 경기 과천주공8·9단지와 전남 광주 광천동 등 6곳의 사업장에서 수주고를 올렸다. 실적은 약 4조9,585억원 규모로 파악됐다.

이어 GS건설이 뒤를 달리고 있다. GS는 서울 용산구 한강맨션 재건축사업장에 첫 수주 깃발을 꽂은 이후 영등포구 신길13구역, 부산 금정구 구서5구역 재건축 등의 사업장에서 시공권을 확보했다. 누적수주액은 약 1조8,919억원 수준이다.

다음 순위에는 롯데건설이 이름을 올렸다. 대표적인 사업장은 서울 성동구 성수1구역 재건축과 강북구 미아3구역 재개발 등이다. 아울러 서울 강동구 선사현대도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공권을 따냈다. 현재까지 누적된 실적은 약 1조3,878억원 규모다.

건설사들의 수주실적이 높을수록 입찰보증금을 납부한 규모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현대가 6개 사업장 수주를 위해 납부한 입찰보증금은 약 2,075억원이다. 전체 수주실적의 약 4% 수준이다. 이 가운데 구역면적이 가장 넓고 건립규모가 상당한 광천동의 입찰보증금액이 무려 900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곳은 구역면적이 약 25만4,466㎡에 달한다. 재개발을 통해 최고 33층 높이의 아파트 5,006가구 등이 들어선다. 이 외에 과천주공8·9단지와 장대B구역의 경우 입찰보증금은 각각 400억원, 선사현대 250억원, 봉덕1동 150억원, 이촌강촌 100억원 순으로 책정됐다. 이중 선사현대의 경우 현대와 롯데가 손을 잡고 시공자로 선정된 가운데 보증금은 각 사가 지분율 50%로 나눠 125억원씩을 납부한 것으로 예상된다.

GS건설은 5개 사업장을 수주하면서 입찰보증금 1,850억원을 납부했다. 가장 높은 입찰보증금을 납부한 사업장은 한강맨션으로 1,000억원이다. 이 단지는 구역면적이 약 8만4,262㎡이다. 최고 35층 높이의 아파트 1,441가구 등을 짓는 재건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구역면적이 더 넓은 불광5구역의 경우 입찰보증금은 한강맨션보다 더 낮은 600억원이 책정됐다. 건립규모는 한강맨션보다 적다. 조합은 11만7,939㎡ 규모의 면적에 재개발을 통해 최고 28층 높이의 아파트 805가구 등을 짓겠다는 구상이다.

롯데건설 역시 6개 사업장을 수주하면서 1,000억원에 육박하는 입찰보증금을 납부했다. 미아3구역의 경우 가장 높은 300억원이 책정됐고, 성수1구역과 봉천1-1구역 등의 사업장에서 약 973억원의 입찰보증금을 납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업계에서는 과도한 입찰보증금이 건설사들의 원활한 수주 경쟁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상 막대한 보증금을 감당할 수 있는 특정 건설사들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과도한 입찰보증금에 부담을 느낀 건설사들의 참여가 저조해지면서 보증금을 납부할 수 있는 특정 건설사만 입찰에 참여하고, 결국은 수의계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수주실적 TOP3 건설사가 시공권을 확보를 위해 17곳의 사업장에서 납부한 입찰보증금은 무려 4,898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다. 각 사업장당 평균 약 288억원 수준으로, 경쟁이 이뤄진 곳은 단 2곳에 불과하다. 실적 1위인 현대의 경우 수주한 사업장들은 모두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 정부가 현설보증금을 금지시키면서 업계에 논란이 불거졌던 이른바 ‘짬짜미 의혹’에 대한 불씨 제거에 나선 바 있다”며 “이후 현설보증금은 사라졌지만 조합이 막대한 입찰보증금을 책정하면서 여력이 있는 일부 대형사만 참여 가능한 구조가 형성됐고, 경쟁 없는 수의계약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혁기 기자 lee@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