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 도시재생지역도 재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다. 1호 사업장으로 공모에 신청한 숭인동 일대 주민들은 환호하고 있다.

주민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재개발 전환 불가 방침에 언제까지 지속될지 가늠할 수 없었던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탈피할 수 있는 길이 생겼다.

도시재생은 전임 서울시장 주도하에 대규모 정비사업을 지양하면서 추진해왔던 사업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주거환경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일선 시범사업장 주민들로부터 점차 외면 받았다.

아직도 도시재생이 갖는 의미는 애매모호하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력 회복을 위해 공공의 역할과 지원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 지자체 홍보물을 통해 드러난 도시재생의 실상은 주민역량 강화 프로그램, 마을협동조합 만들기에 불과했다.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실망감이 커지면서 구도심 곳곳에서는 재개발사업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2015년 서울 1호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시범 사업장으로 선정된 창신·숭인동 일대가 대표적이다. 이곳은 당초 뉴타운에서 해제된 후 도시재생시범사업지로 선정된 곳이다. 약 5년 동안 도시재생으로 변화된 부분은 ‘담벼락 벽화 마을’이라는 이미지뿐이다. 구역 내 봉제역사관을 짓거나 산마루 놀이터, 회오리 마당 등을 조성한 게 전부다. 열악한 주거환경은 그대로 방치됐다. 결국 주민들은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공공재개발로의 전환을 요구했다. 그런데 거절당했다. 예산이 중복으로 편성된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와중에 시가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벗어나기를 간절하게 희망했던 주민들의 손을 잡았다. 시 관계자들은 이곳 주민들을 만나 도시재생도 신속통합기획(구 공공기획)을 통한 재개발 추진이 가능하도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신속통합기획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재개발과 별도로 시차원에서 시행하는 정책이다.

이후 숭인동 일대 주민들은 시에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공모를 신청·접수했다. 주민들로서는 비로소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이 생긴 셈이다.

도시재생은 실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수의 주민들을 배제한 채 관 주도로 진행되면서 ‘주거환경 개선’은 소홀했기 때문이다. 정책은 다수의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와야 한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