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복합사업 일몰 연장됐지만… 후보지 철회만 벌써 29곳
전체 61%가 후보지 지정 단계서 멈춰 사업승인된 4곳도 참여자 없어 유찰
도심복합사업 일몰이 연장됐지만 후보지 철회만 벌써 29곳이 나왔다. 도심 내 공공주택 정책 목표 달성에 빨간 불이 켜진 셈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손명수 의원(경기용인시을)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은 올 9월 기준 8만8,000세대 공급을 목표로 전국 53개 후보지에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시행 4년차를 맞은 현재 사업의 61%가 후보지 지정 단계에 멈춰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철회된 후보지만 29곳이다.
도심복합사업은 문재인 정부가 2021년 ‘2·4 공급대책’의 하나로 도입한 주택 공급사업이다. 사업성이 낮아 민간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 주거지를 용적률 혜택 등을 통해 공공 주도로 빠르게 개발하기 위해 취지로 도입됐다. 도심 내 공공주택을 보급하기 위한 공공 재개발 사업이다.
당초 정부는 도심복합사업을 2021년 9월부터 3년 한시로 도입했지만 예상보다 사업 진행 속도가 더뎌 최근 일몰 기간을 2026년 12월로 연장했다. 그럼에도 공급목표를 달성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의 단계는 △사업승인 완료 4곳(방학역 인근 420세대, 쌍문역 동측 639세대, 연신내역 인근 392세대, 원미사거리 북측 1,628세대) △사업승인 전 단계 13곳(2.3만세대) △예정지구 지정 5곳(0.8만세대) △후보지 31곳(5.4만세대)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부분이 전 정부 때 선정된 후보지로 이번 정부 들어 새로 추가된 곳은 5곳에 불과하다. 기존 후보지 중 26곳은 주민동의율이 낮다는 이유로 철회됐고, 예정지구로 지정됐다가 철회된 곳도 3곳이나 있었다.
사업승인이 완료된 4곳 역시 상황이 녹록치 않다. 쌍문·연신내·방학 등 서울권 3곳의 경우 참여자 공모를 진행했지만 공모자가 없어 유찰됐다. 부천의 원미사거리 북측지구도 추진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지구지정 지역으로 포함된 11곳도 3년 가까이 진척이 없는 도봉·영등포·은평지구를 포함해 사업 지연이 지속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사비 반영 등 입찰 조건을 조정해 사업자 재공모를 추진할 것”이라며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현물보상기준일을 조정하고 제공범위를 확대하는 등 유인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손명수 의원은 “도심 내 주택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서 사업성이 낮아 민간 재개발이 어려운 지역에 공공 주도로 주택을 공급하는 일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이미 많은 후보지가 철회한 만큼 기존 선정 지구의 사업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고 참여 유인을 대폭 강화해 신규 후보지를 발굴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 정부는 2022년 ‘8·16 대책’을 통해 창의적 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민간 도심복합사업’을 신규 도입하고 기존 사업장 중 호응이 낮은 일부 공공 사업장을 민간사업으로 전환하는 데 적극 지원한다며 전 정부 사업과의 차별성을 강조했다. 다만 당초 사업성이 낮아 민간 재개발이 어려운 지구를 후보지로 선정한 것을 고려할 때 민간사업 성공 여부도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