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서울 도심복합사업 사업참여자 공모

쌍문역 동측·방학역·연신내역 등 3곳서 민간참여방식 도입… 주민협의체서 선정

2024-08-05     박노창 기자
서울 도심복합사업 지구별 현황 [그래픽=홍영주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서울권 3곳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참여자 선정에 나섰다. LH는 지난 2일 쌍문역 동측과 방학역, 연신내역의 도심복합사업 복합사업참여자 선정 공모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도심복합사업은 지난 2021년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에 따라 민간정비가 어려운 노후 도심에 공공이 주도해 신속하게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여기서 복합사업참여자란 도심복합사업에서 민간참여사업 방식으로 참여하는 주택건설업자를 말한다.

민간참여사업은 LH 등 공공시행자와 민간건설사가 공동으로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민간의 기술력과 브랜드 활용이 가능해 주택 공급 시 다양한 입주자 수요를 반영할 수 있다.

이번에 첫 공모를 시행하는 3개 지구는 쌍문역 동측(639세대), 방학역(420세대), 연신내역(392세대) 등 총 1,451세대(6,133억원) 규모다. 지구별로는 △쌍문역 동측(2,477억, 38층) △방학역(1,717억, 39층) △연신내역(1,939억, 46층)이다.

오는 11월 복합사업참여자 선정이 완료되면 내년 12월 철거 및 착공에 들어간다. 방학역과 쌍문역 동측 지구는 2029년 10월에, 연신내역 지구는 29년 12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LH는 공모 지침에 △층간소음 저감 등 특화공법 제안 △스마트 홈·제로에너지 계획 △착공 전·후 구조도면 검토를 위한 제3자 리뷰제도 △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안전관리 시스템 등을 반영해 주택 품질을 더욱 높인다는 방침이다.

공모 일정은 △참가의향서 접수(8월 7일) △현장설명회(8월 8일) △서면질의 접수(8월 12일) △사업신청서 접수(9월 30일) 순으로 진행된다.

이후 LH는 주민협의체에 분야별 외부 전문가와 주민협의체 구성원 2~4인이 포함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최고득점을 받은 1순위부터 3순위자를 제시하며 최종 주민협의체 투표로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다.

김재경 LH 지역균형본부장은 “도심복합사업은 역세권 등 주거 수요가 풍부한 도심 내 양질의 주택을 신속히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후 도심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건설경기 위축에 따른 주택공급 물량 부족 우려 해소를 위해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LH는 서울을 비롯해 전국 53개 지구에 약 8만1,000세대 규모의 도심복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권 증산4, 신길2, 쌍문동 서측 지구의 경우 오는 12월 사업승인 완료 후 내년 상반기 복합사업참여자 선정 공모가 예정돼 있다.

한편 한시적으로 추진되는 도심복합사업은 오는 9월 20일 일몰을 앞두고 있다. 이에 국회에서도 일몰기한을 아예 없애거나, 한시적으로 유예하는 법안을 잇달아 발의한 상황이.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과 한정애 의원은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공공주택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각각 대표발의했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