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미해산·미청산 예방 위한 조례 통과
김용일 시의원 “구청장이 시장에게 보고”
재개발·재건축조합의 해산과 청산 절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근거가 마련됐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김용일 의원(국민의힘, 서대문구4)이 발의한 이런 내용의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3일 제323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조합장이 구청장에게 제출하는 ‘조합 해산(청산) 계획 및 추진사항 관련 자료’에 구체적인 일정을 포함하고 구청장이 시장에게 보고해야 하는 ‘조합 해산(청산) 계획 및 추진사항’을 규칙으로 정하는 서식에 따라 작성하도록 규정했다.
재개발·재건축조합은 사업 종료 후 조합의 남은 자금을 돌려주고 해산(청산)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조합의 경우 특별한 사유 없이 해산·청산을 고의로 지연시키면서 경제적인 이익을 취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김 시의원은 “정비사업 종료 후 조합에서 제출하는 해산(청산) 계획에 구체적인 일정을 포함하도록 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구청장이 규칙으로 정하는 서식에 따라 시장에게 보고하도록 절차를 체계화하여 정비사업 조합의 관리·감독을 강화한다면 해산(청산) 지연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조합의 장기적인 미해산(미청산) 문제로 발생되는 조합원의 재산상 손실 및 정신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 서울시의회 제321회 정례회에서 정비사업의 ‘청산절차’를 명확히 규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감독을 강화하도록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발의하는 등 미청산 조합 문제 예방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