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외지업체 독식’, ‘정비사업 외지업체 싹쓸이’


최근 1~2년 사이 정비사업 업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표현이다. 정비사업 시공권을 해당 지역의 건설사들이 수주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향토건설사가 해당 지역의 수주전에서 타지역, 혹은 대형건설사에 밀리면서 지역 자본이 유출되기 때문이다. 


또 향토건설사가 참여해야 지역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일자리 창출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 1980~90년대 유행했던 ‘신토불이(身土不二)’의 건설판인 셈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지역건설사가 해당 지역의 정비사업을 수주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역 이기주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비사업 특성상 수주 초기 단계에서부터 건설사가 자금을 지원해야 하는데다, 사업추진 과정에서 대규모 사업비용을 투입해야 한다. 여기에 일반 건설사업과는 달리 사업 과정이나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경험과 이해가 필요한 사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동안 중견 건설사들은 대규모 자금 지출이나 복잡한 절차가 필요 없는 공공택지나 임대주택 건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삼아왔다.


하지만 수년간 공공택지 공급이 중단되자 중견 건설사들도 정비사업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먹을거리가 떨어진 중견 건설사로서는 당연한 선택이지만, 지금처럼 향토건설사 혹은 외지건설사를 구분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 해당 논리대로라면 그동안 수도권에서 공급됐던 수많은 공공택지는 수도권에 기반을 둔 건설사만 참여하는 것이 마땅하기 때문이다.


특히 향토건설사는 해당 지역의 조합원들로부터 선택을 받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지자체가 지역 건설사에게 용적률 인센티브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향토건설사가 시공자로 선정되는 사례가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는 대형 건설사와 비교해 아파트 브랜드나 품질 등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그동안 정비사업에 꾸준히 참여해온 건설사와 달리 중견 건설사는 경험이나 전문성에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실제로 최근 지역 건설사의 제안서는 대형 건설사와 차별화된 점이 거의 없이 사실상 제안서 베끼기 수준에 불과하다.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텃세보다는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어야 하지 않을까.

심민규 기자 sm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