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법안이 지난 25일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리모델링이 가능한 아파트들의 집값이 수직상승하고 있다. 특히 강남이나 용산, 분당 등 시세가 뒷받침되는 지역의 아파트단지가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지은지 15년 이상된 아파트는 최대 3개층을 증축하고 가구수를 15%까지 늘릴 수 있게 됐다.


▲분담금 확 낮아진다=최근 리모델링공사를 마치고 입주한 서울 강남권 아파트는 래미안청담로이뷰와 청담아이파크, 래미안대치하이스턴 등이 있다.


이 중 ‘래미안청담로이뷰’는 청담두산을 리모델링 한 것으로, 이 아파트는 수직증축이 허용되기 전 당시 규정에 따라 전용면적 30% 확장으로 공사를 진행했다. 전용 84.92㎡가 110.2㎡로 넓어졌는데 시세차익만 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리모델링이 본격화된 2011년 2월 8억9,000만원에 거래가 됐고, 같은해 5월에는 10억원에 거래가 됐다. 이후 2012년 11월 10억3,943만원에 거래되다 입주 후인 올 2월엔 12억1,500만원에 신고됐다.


래미안대치하이스턴도 리모델링 전인 2012년 3월 8억6,000만원이던 시세가 현재 1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가구당 평균 분담금 2억5,000만원과 중개수수료, 양도세, 이주비용 등을 감안해도 상당한 시세차익을 남기게 됐다.


입주를 마쳐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겠지만 리모델링 수직증축에 따른 비용을 추산하면 대략 1억원 안팎의 분담금이 줄어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일례로 전용 85㎡ 1,000가구로 구성된 아파트 단지를 103㎡로 늘리는 리모델링을 할 경우 수직증축이 안 되면 가구당 2억원 가량의 공사비를 내야 한다. 하지만 3개층을 수직증축해 추가로 150가구를 만든 뒤 일반분양(분양가 3.3㎡당 1,800만원 추정)하면 기존 집주인들의 부담금은 1억2,000만원으로 줄어든다.


▲재건축보다 낫다=일단 재건축아파트에 적용되는 소형주택의무비율을 따르지 않아도 되고, 임대주택 성격의 재건축소형주택을 짓지 않아도 된다. 기부채납에 대한 걱정도 없다. 현재 서울시는 재건축시 사업부지의 10~15%를 기부채납 받고 있다.


결국 증층아파트의 경우 집을 지을 때부터 높은 용적률을 적용받았기 때문에 재건축을 하더라도 층수를 대폭 올리지 못하는데다 기부채납 비율을 감안하면 리모델링 사업성이 더 낫다는 것이다.


특히 공사비의 경우 지역에 상관없이 비슷하기 때문에 시세가 어느정도 받쳐 주는 지역이 훨씬 유리하다. 강남, 용산, 분당 등이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다.


▲리모델링 추진 지금이 적기다=수직증축 허용에 지자체의 지원사격이 더해지면서 리모델링 추진단지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이미 공동주택 리모델링 지원 조례를 제정한 성남시에 이어 서울시도 리모델링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에 나섰다. 이미 해당 소관위원회 심의를 마쳤고, 본회의 의결만을 남겨 두고 있다. 수직증축 허용이라는 대형 호재에 지자체도 지원에 나서면서 지금이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가장 적기가 되고 있는 것이다.



건설사 리모델링 전담팀 구성… 건자재 주가도 상승곡선



건설사들도 리모델링 전담팀을 구성하는 등 사업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직증축 허용으로 관련시장이 덩달이 커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건축자재 주가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건축사업본부 산하에 지난달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전담하는 그린리모델링사업그룹을 신설했다. 이 그룹에서는 리모델링 사업수주 및 계획, 구조검토, 평면설계 등을 일괄 담당한다.


삼성물산은 수직증축 허용안이 포함된 4·1대책을 전후해 수직증축 리모델링 관련 TF팀을 운영하고 있다.


금호산업도 건축사업본부 밑에 리모델링팀을 올해 초 출범시켰다. 금호산업은 제주국제공항이나 마크호텔의 리모델링 시공 경험을 토대로 수직증축 리모델링시장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한국리모델링협회 관계자는 “리모델링 수직증축이 허용되면서 조직 개편 등 건설사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리모델링 시장 진출을 타진하는 건설사들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박노창 기자 park@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