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평균 거래가격 20억원 초과지역, 연도별 평균 거래가격 [그래프=직방 제공]
2020년 평균 거래가격 20억원 초과지역, 연도별 평균 거래가격 [그래프=직방 제공]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이 30억원 돌파를 목전에 뒀다. 비수도권에서는 대구 수성구 수성동3가가 유일하게 1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 18일 직방이 지난해 전국에서 거래된 80만5,183건의 아파트 거래사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압구정동이 평균 거래가격 29억9,000만원선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거래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평균 거래가격이 20억원을 넘는 지역은 압구정동 외 반포동, 용산동5가, 대치동, 서빙고동, 도곡동, 잠원동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압구정동 1개에 불과했지만 7개동으로 범위가 확대됐다.

고가주택의 상징이었던 10억원을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34개동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3배 이상 증가한 113개동에서 평균거래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섰다. 특히 서울은 32개동(2017년)에서 97개동(2020년)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과천과 판교 등 일부지역에 국한됐던 10억원 초과 아파트의 분포가 지난해 분당 구도심과 위례, 광명역세권, 광교 등으로 그 범위가 확대됐고 비수도권에서는 대구 수성구 수성동3가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서울보다 비싼 동네는 전국에 2,158개동=아파트 거래가 발생한 읍면동을 기준으로 서울의 읍면동보다 높은 거래가격을 기록한 非서울의 비중은 지난 2017년 55.6%에서 지난해 63.2%로 증가했다. 특히 경기와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의 읍면동은 1,275개동에서 1,544개동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강남·서초·송파 대신 강남·서초·용산+과천=강남·서초·송파는 그 동안 강남3구로 불리며 아파트 시장을 리드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다르다. 강남과 서초는 부동의 1,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송파 대신 용산이 3위에 자리잡고 과천이 새롭게 진입한 모습을 보였다.

서울과 과천을 제외하고는 분당이 9위에 포진하며 ‘천당 밑에 분당’이라는 말을 실감케 했다. 또 ‘서반포’로 불리며 고급 주거지역으로 부상한 흑석뉴타운이 입지한 동작구 일대가 ‘목동’의 양천구를 누르고 상위 10위에 이름을 걸었다.

▲마포·광진·성동 10억원 클럽 진입… 서울 위협하는 수영·해운대·수성=전통의 부촌 강남3구 및 용산을 제외하고 한강이북에서 처음으로 거래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서는 자치구가 출현했다. 바로 마포구와 광진구, 성동구가 그 주인공이다.

마포와 성동의 경우 재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된 신축 아파트 단지들이 지역 내 랜드마크 단지로 자리잡으며 가격을 이끌었고 광진구는 광장동 일대 우수한 학군 중심으로 실수요층이 꾸준히 진입하고 재건축도 진행하고 있어 10억원 클럽 진입에 성공했다.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와 중구가 서울 도봉구보다 거래가격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록적인 상승률을 기록하며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남천삼익비치가 입지한 수영구와 고급 주상복합인 엘시티가 입지한 해운대구가 가격 상승을 주도했고 수성동과 두산동, 범어동 중심의 대구 수성구가 그 뒤를 이었다.

서울보다 가격 높은 비 수도권 지역 가격 추이 [그래프=직방 제공]
서울보다 가격 높은 비 수도권 지역 가격 추이 [그래프=직방 제공]

▲경기도보다 비싼 세종시 4억3,000만원=지난해 아파트 평균거래가격 시도별 순위를 살펴보면 서울이 8억4,000원으로 다른 시·도들과 큰 격차를 보이며 가장 높은 자리에 위치해 있고 뒤를 이어 세종(4억3,000만원), 경기(3억8,000만원), 부산(3억4,000만원), 대구(3억2,0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시가 서울 다음으로 비싼 도시가 됐고, 수도권 지역인 인천을 제치고 부산과 대구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함영진 빅테이터랩장은 “서울 대부분 지역을 비롯해 지방광역시 주요지역의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설 만큼 기록적인 한 해를 보낸 아파트 시장이지만 올해에도 그 상승세를 이어 가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그동안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아 가격이 급등했지만 지난해 거래가 대거 이뤄지고 실수요 움직임이 소화되면서 거래량이 다소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홍영주 기자 hong@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