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현황 [자료=부산시 제공]
부산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현황 [자료=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도시재생사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 부산광역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변경)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 전략계획에는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향후 10년간 전략적으로 추진할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지정하는 안이 담겨 있다.

시는 ‘다함께 만들고, 다함께 누리는 포용도시 부산’으로 비전을 설정하고 ‘행복하고 편리한 도시’, ‘활기차고 경쟁력 있는 도시’, ‘지속 가능한 시민참여 도시’를 3대 전략목표로 정했다.

그동안 시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26곳을 지정해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 새뜰마을사업,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 등을 추진해 왔다. 앞으로는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확대해 뉴딜사업과 4차산업을 연계한 일자리 창출 및 자치구별 현안 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현재 뉴딜사업 권장면적에 맞게 기존 전략계획 지역을 분할·축소해 현실화하고 ‘구·군 도시쇠퇴진단’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도시재생 의지가 높은 지역 92개소를 우선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했다.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인 16개소를 포함해 부산시의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총 108개소이다.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유형으로는 △쇠퇴한 산업기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경제기반형’에 남구 우암부두 일원과 사상구 사상공업지역 등 7곳 △역사·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중심시가지형’에 동구 부평깡통시장, 금정구 부산대학 등 16곳 △주민공동체 활성화와 골목상권 활력 증진을 위한 ‘일반근린형’에 북구 덕천시장, 사상구 모라시장 등 25곳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주거지지원형’에 중구 영주동, 서구 남부민동 등 44곳을 지정했다. 그동안 재개발·재건축 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던 곳과 해제된 12곳도 새롭게 포함돼 뉴딜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신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소요되는 총사업비는 2조2,100억원으로(국비 1조1,050억, 시비 6,400억, 구비 4,650억) 추산된다. △경제기반형(7곳)에 3,500억원 △중심시가지형(16곳)에 4,800억원 △일반근린형(25곳)에 5,000억원 △주거지지원형(44곳)에 8,800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또 공간전략으로 부산시 전역을 크게 3개 생활권(중·서·동부산)으로 나누고, 생활권마다 2개의 재생구역을 두어 총 6개 재생권역(원도심, 동래, 강동, 강서, 동부, 기장)을 설정했다. 이에 권역별 잠재력을 진단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특화된 전략계획도 수립했다.

특히 이번 전략계획에는 △주민공동체 역량 강화 △도시재생 전문인력 양성 △도시재생 전문기업 육성 △빈집 등의 유휴공간 활용대책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방안 등 지속 가능한 부산형 도시재생 실행방안도 함께 담았다.

시는 지역별 인구, 사업체수, 노후주택 등 쇠퇴지수와 잠재력 분석에 따른 우선순위에 맞춰 1~3단계로 구분해 2030년까지 매년 7~8개 활성화 지역에 국가지원을 받아 도시재생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 지역별 특성과 문화·역사적 자산 등을 고려한 특색있고, 체계적인 도시재생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 도시재생정책과 관계자는 “앞으로도 부산지역의 특성을 살린 부산만의 도시재생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번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계기로 지난 10년간 부산시 도시재생사업을 뒤돌아보고 앞으로 10년간은 주민역량 및 마을공동체 자생력 강화를 통해 주민이 중심이 되는 도시재생 실현을 위해 변화와 혁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혁기 기자 lee@ar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